스마트폰만 있으면 충분한 시대
종이돈의 종말 빨라지는 추세
디지털 화폐 시대 진입하나

“손에 쥐던 현금이 디지털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현금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현금 대신 모바일 결제가 일상화되면서 5년 만에 현금자동입출금기(ATM) 30만 대가 사라졌다.
중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권에서도 디지털 결제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지폐와 동전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있다.
현금 사용 급감에 중국 ATM 4분의 1이 사라져

26일 중국 계면신문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중국의 ATM 기기 수는 80만 2천700대로, 5년 전보다 26.87% 급감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불과 5년 만에 약 30만 대의 ATM이 중국에서 사라졌다. 현금 사용 감소가 ATM 감소로 직접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전자결제 거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24년 전자결제 거래 건수는 3천16억 6천800만 건으로, 2019년 대비 35.04% 증가했다.
거래 총액 역시 3천426조 위안(약 65경 원)으로, 2019년보다 약 30% 늘었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모바일 간편결제가 압도적 인기를 끌면서 ATM 사업을 주력으로 삼았던 상장사들은 수익 악화에 시달리는 실정이다.
한국 포함 글로벌 현금 사용 급감 추세
이러한 현금 사용 감소 현상은 전 세계적인 트렌드다.
월드페이의 ‘2024 글로벌 결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세계 현금거래 비중은 전체의 16%로, 2020년 19%에서 감소했으며 2027년에는 11%로 더욱 축소될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수단 중 현금 이용 비중은 15.9%에 불과했다.
이는 신용카드(46.2%), 체크카드(16.4%)에 이어 세 번째 수준이다.
특히 현금 이용 비중이 2013년 41.3%에서 10년 만에 16% 수준으로 급락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세계적으로 비교해 보면 한국의 현금 사용도는 주요 40개국 중 29위로, 전체 평균(23%)보다 낮다.
일본(41%), 독일(36%) 등은 여전히 현금 사용 비중이 높은 반면, 노르웨이(4%), 스웨덴(5%) 등 북유럽 국가들은 현금 사용이 극히 적다.

현금 없는 사회의 그림자
현금 사용 감소는 편리함과 거래 투명성 증가라는 장점이 있지만, 심각한 우려도 제기된다.
가장 큰 문제는 디지털 인프라의 취약성이다. 자연재해나 사고로 결제 네트워크가 파괴되면 국가의 결제 기능이 마비될 위험이 있다.
2021년 KT 통신망 장애와 2022년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당시 온라인망이 훼손돼 사회 전반이 혼란을 겪은 사례가 이를 증명한다.
또한 디지털 결제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장애인 등의 금융 소외 문제도 불거지고 있다.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2021년 상점과 음식점에서 현금결제를 거부당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 가구의 6.9%로 2018년보다 늘었다.
이런 문제점을 인식한 세계 각국은 현금 사용권을 보장하는 법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는 소매상거래에서 현금결제를 법적으로 보장하며, 스웨덴은 대형 상업은행의 현금 취급업무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시행 중이다.
한국은행 이종렬 부총재보는 “한은은 실물화폐를 절대 없애지 않을 것”이라며 “디지털화폐는 전력이 끊기면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IT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서라도 실물화폐는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결국 미래에는 디지털 결제와 현금 시스템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현금은 위기 시 최후의 보루로 기능하는 만큼, 완전한 탈현금화보다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해킹이 판치는 세상으로..변한다…ㅎㅎ
디지털 화폐 반대입니다 저같이 나이많은 사람들은 휴계소에서 음식먹는것도 사실 힘듭니다 현금쓰는게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