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고령화 심각, 일손 구하기 난항
농가인구 200만 선 붕괴 임박
식량안보 위협, 대책 마련 시급

“모내기 시즌인데 올해는 일할 사람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예요.” 전북 김제에서 벼농사를 짓는 김 모(67) 씨의 한숨이 깊다.
농촌 현장에서 들려오는 이런 목소리는 단순한 불평이 아니라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현실적 경고음이다.
농업 인구 감소가 통계상으로도 명확히 드러나면서 식량 생산의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농가 인구 200만 명 붕괴 직전… 고령화율 55.8%
통계청이 지난 17일 발표한 ‘2024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우리나라 농가는 97만 4천 가구로, 전년보다 2만 5천 가구(2.5%) 감소했다.
농가 인구는 200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8만 5천 명(4.1%) 줄었다.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와 전업 등으로 농가 인구는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고령화 현상이다. 농가 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은 55.8%로 전년보다 3.2%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고령 인구 비율(19.2%)의 2.9배에 달하는 수치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78만 5천 명으로 전체 농가인구의 39.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60대 61만 1천 명, 50대 28만 1천 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런 추세는 어업과 임업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어가의 고령 인구 비율은 50.9%, 임가는 56.4%로 모두 전년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농림어업 전반에 걸쳐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나이 들어가는 농촌… 미래세대는 사라지고
더욱 우려되는 것은 초저출산에 따른 인구 위기가 이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농촌 지역의 10세 미만 인구가 18.5% 급감했고, 20대는 12.1% 감소했다. 미래를 책임질 40대 인구도 13.1% 줄었다.
현재는 농기계 활용과 외국인 계절노동자의 도움으로 간신히 농업 경영이 유지되고 있지만, 이대로라면 10년 내에 농업 체계 자체가 붕괴될 위험이 크다.
향후 농업 주력 인구인 65세 이상 고령자들의 자연적 감소가 진행되면 농업 체계가 붕괴 단계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경제적 어려움까지 더해진다. 통계에 따르면 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 원 미만인 농가는 전체의 64.3%에 달한다.

어가의 경우도 수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 원 미만인 경우가 전체의 42.3%를 차지한다. 낮은 소득은 청년들이 농업을 기피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
농업 지속가능성 위한 특단의 대책 필요
농업 인구의 급감과 고령화는 단순한 산업 구조 변화를 넘어 국가 식량안보의 위기로 직결된다.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 변화로 농업 생산성이 불안정해지는 상황에서, 농업 인구 감소는 이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농업은 단순한 산업이 아니라 국가의 생존과 직결된 기반”이라며 이러한 복합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이고 과감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식량안보라는 국가적 과제 앞에서 농업 인구의 고령화와 감소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현안이 되었다.
국가의 미래와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청년 농업인 육성, 기술 혁신, 소득 안정화 등 종합적인 접근이 절실한 시점이다.
먼헛소리냐,자동화로 생산성만 늘어나농사 짓지 마라고 직불제 하는데
젊은 놈들은 전부 농민회가입
좌익 돈받아처먹고
데모나하고ㆍ
이제 농촌도 정치단체다ㆍ
빚쟁이 청년농 증가한다.
특단 대책이라면서 보조금 예산 반토막에 반토막 난 상태
오지마세요. 어차피 정권 비뀌면 또 속고 속고 수입산 천국
이미 수입산 아니면 우리나라 운영 안됨
자업자득이다 ㆍ귀촌귀농할 때 20년
전 이장등 마을 거주자의 횡포로 발전기금이니 등 툇새로 농촌이주인구 급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