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줄이 폐업 “이게 현실이 될 줄이야”…늪에 빠진 숙박·음식업

불황 속 자영업자 생존 위기 고조
매출 감소와 수수료의 이중고
가맹점주들의 절박한 현실
자영업자
자영업자 생존 위기 / 출처: 연합뉴스

“아침에 문을 열고 밤에 닫을 때까지, 하루가 다르게 줄어드는 손님들을 지켜볼 때마다 가슴이 무너집니다.”

프랜차이즈 카페 사장 김 모 씨(42)의 목소리에는 절박함이 묻어났다. 5년 전 꿈과 희망을 안고 시작한 사업은 이제 그를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소비 침체와 각종 비용 증가 속에서 자영업자들의 비명이 전국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역대 최장기 부진의 늪에 빠진 자영업계

자영업자
자영업자 생존 위기 / 출처: 연합뉴스

국내 자영업계가 역대 최장기 부진의 늪에 빠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0년을 100으로 설정해 매출 수준을 수치화한 지표다.

현재 수치가 103.8이라는 것은 표면적으로는 103.8%로 증가한 것처럼 보이지만, 지난 5년간 누적 물가상승률이 12~15%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약 15% 매출이 감소한 셈이다.

이는 2023년 5월 이후 22개월 연속 하락세로, 역대 최장 기간 부진이다.

자영업자
자영업자 생존 위기 / 출처: 연합뉴스

특히 음식업종의 부진이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2023년 전체 폐업 신고 사업자는 98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는데, 이 중 음식점 폐업자는 15만 8천 명에 달했다.

이는 소매업과 미용 등 기타서비스업 다음으로 많은 수치다. 세종대 김대종 경영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온라인화되고 무인화되는 추세에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이중고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은 본사와의 관계에서 또 다른 고통을 겪고 있다.

자영업자
자영업자 생존 위기 / 출처: 연합뉴스

중소기업중앙회가 14일 발표한 514개 외식업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맹점의 월 지출 비용 중 34.5%가 가맹본부에 지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부담은 ‘구입강제품목 구입비’로, 전체 지출의 25.7%를 차지했다.

가맹점은 소스나 드레싱류(64.2%), 일회용 식기와 포장용기(59.5%) 등을 의무적으로 가맹본부에서 구매해야 한다.

특히 커피·디저트 업종에서는 종이컵, 휴지, 비닐장갑 같은 기본 소모품까지 강제 구매하는 경우가 57.3%에 달했다.

자영업자
자영업자 생존 위기 / 출처: 연합뉴스

불공정거래 경험도 적지 않았다. 응답자의 17.7%가 최근 3년간 불공정거래를 겪었다고 답했으며, 판매가격 구속(37.4%)과 원자재 구입강제(33.0%)가 주요 유형으로 꼽혔다.

이러한 강제 구매 관행은 자영업자들의 수익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배달앱 수수료의 추가 부담까지

여기에 배달앱의 수수료 부담까지 더해지면서 자영업자들은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자영업자
자영업자 생존 위기 / 출처: 연합뉴스

배달의민족은 14일부터 포장 주문 서비스를 전면 유료화해 6.8%(부가세 별도)의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매출 부진과 가맹본부 비용 부담에 이어 배달앱 수수료까지 가중되자 일부 점주들은 포장 서비스를 아예 해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BBQ, 교촌치킨, 맘스터치 등 유명 외식 프랜차이즈의 일부 매장들도 포장 주문을 중단하고 배달 주문만 받는 상황이다.

자영업자 인터넷 카페에는 “배민 포장 서비스를 해지했다”는 글이 연일 올라오고 있으며, 배민 대신 네이버 포장 주문으로 전환했다는 업주들도 나타나고 있다.

자영업자
자영업자 생존 위기 / 출처: 연합뉴스

이 같은 상황에 중기중앙회 추문갑 경제정책본부장은 “프랜차이즈 사업은 검증된 사업자와 신규 창업자 간 멘토-멘티 같은 모델을 가지고 있어 자발적 상생 문화의 정착이 중요하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상생 우수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정기적인 가맹 계약 실태 점검 등 상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영업자들의 생존을 위한 정부와 업계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8

  1. 회사원들도 60이면 정년퇴직한다 자영업은 똥칠할때까지 하나? 인구감소 앞에 백약이 무효다 얼른 접어라

관심 집중 콘텐츠

에너지고속도로

“바다 밑에 ‘대형 황금알’이 있다”… 11조 ‘효자 사업’에 업계 ‘기대감 솔솔’

더보기
파리 식당가 와인 바꿔치기

한국인 사랑 듬뿍 받는 여행지인데 “환상이 깨졌다”…‘발칵’ 뒤집힌 이유

더보기
한화 대미 라인

미국서 ‘러브콜’ 날아들더니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 한화 행보에 ‘눈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