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달 연속 안정세…
둔화된 물가 상승, 그러나 체감은?
“분명히 물가는 안정됐다고 하는데, 아직도 마트에 가는 게 겁나요”, “물가 오른 데 비해 월급은 그대로라서 더 힘든 것 같기도”
지난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를 기록하며 석 달 연속 1%대 안정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1.6%로 1%대에 진입한 이후 10월(1.3%)과 11월까지 하락세를 이어갔다.
물가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석유류 가격 하락이 꼽힌다. 국제유가 안정화로 석유류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3%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낮췄다.
다만 채소류 물가는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무(62.5%), 호박(42.9%) 등 주요 품목 가격 상승으로 채소류 물가는 10.4% 증가하며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과실류는 가격 안정세를 보이며 사과 가격이 8.9% 하락했다.
체감 물가와 통계의 괴리
지표상으로는 물가가 안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소비자들은 여전히 생활 속에서 물가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
이는 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로 산출되기 때문에 누적된 고물가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 대비 14.3%, 2021년 대비 10.1% 상승했다. 3년간 연평균 3.3%씩 오른 셈이다.
생활물가지수와 신선식품 지수도 각각 11.4%, 15.2% 상승하며 가계의 체감 물가를 더욱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신선과실류는 3년 전보다 19.0% 상승하는 등 변동 폭이 컸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생필품 중심으로 가계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고 있다.
물가 상승에 비해 가계 소득 증가율이 낮은 점 또한 서민 가구에 큰 고통을 주고 있다.
하위 20% 소득층의 평균소득은 3년간 3.5%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하위 40% 가구의 소득 증가율도 6.7%에 머물렀다.
이와 비교해 전체 평균 소득은 11.13% 증가하며 물가 상승률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소득 증가율이 낮은 계층일수록 고물가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단순한 물가 안정책을 넘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재정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부는 물가 안정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무와 당근 등의 할당관세를 내년 2월 말까지 연장하고, 에너지바우처와 같은 직접 지원책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차관은 “국민 체감 물가를 낮추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서민 가구의 부담 완화를 위한 추가 정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허구헌날 말로만 정책을 마련하겠다니,,,이 정부에 정책이란게있냐,,,빨리 탄해기나되어서 예전의 우리나라로 정상화되기만을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