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갈수록 심화되는 고물가 시대,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중
“이젠 마음 놓고 외식도 못하겠어요”, “꼭 필요한 생필품들 가격도 오르는 바람에 마트 가는 것도 겁나요”
수도권 직장을 다니는 A씨는 요즘 들어 한숨이 늘었다.
물가는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고 이자 부담은 날이 갈수록 커져만 가는데, 매달 받는 월급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2025년부터는 최저임금이 오른다는 말을 들었지만, 최저임금이 오른 정도로도 고물가 시대를 살아갈 엄두가 나지 않는다.
올해 상반기 근로자들이 실질적으로 받는 돈이 작년보다 줄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임금이 오르긴 했지만, 물가는 그것보다 더 올랐다
지난 8월 29일, 고용노동부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통해 근로자의 실질임금을 발표했다.
여기서 실질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실제로 지급된 임금에서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임금을 의미한다. 즉, 근로자들이 받는 임금의 실질적 가치인 셈이다.
2024년 상반기인 올해 1~6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354만 3천 원이다.
이는 지난 2023년 상반기 실질임금이었던 355만 8천 원보다 0.4% 줄어든 임금이다.
재작년과 작년 2년 연속으로 실질임금이 후퇴하고 있으며, 근로자들의 임금 상승도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했다는 뜻이다.
근로자들에게 실제로 지급된 ‘명목 임금’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2.4% 늘었는데, 물가지수 상승률은 2.8%다. 실질임금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한편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지난해보다 0.7% 늘었다. 주로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등의 증가 폭이 커졌다.
종사자 수는 늘어나는데 실질적으로 근로자들이 받는 임금의 가치는 줄어들고 있으니, 일각에서는 작년부터 회복세를 보이던 내수가 다시 꺾일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이러한 고물가와 내수 위축은 특히 고령층과 저소득층 등의 취약 계층에게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실제로 고령층과 저소득층이 느끼는 실효물가 상승률은 장년층과 고소득층보다 약 1~2% 정도 높게 나타났다.
그렇다고 고령층과 청년층이 고물가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가계의 자산과 부채를 고려하면 그들의 금융자산과 전세보증금 또한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민생 안정을 강조하며 여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장바구니 물가의 상승을 잡아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문가는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을 민간 기업에 떠맡기기만 할 수는 없다”면서 다시금 정부의 대책 마련에 대한 시급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