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막히자 기업으로”…
시중은행의 ‘돌파구’ 전략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가계대출 규제에 은행들이 기업금융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그러나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기업대출 확대가 장기적으로 안전한 대안이 될지에 대한 불안감도 함께 커지고 있다.
가계대출 규제가 이어지면서 은행들은 기업금융을 새로운 핵심 전략으로 설정했다.
KB국민은행은 이번 정기 인사를 통해 SME(중소기업) 지점장을 기존 1명에서 20~30명으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SME 지점장은 지역 산업단지와 국가 주도 성장 지역에서 기업금융을 총괄하며, 은행 수익 구조 전환의 중심에 설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기업대출 지원 범위를 확대하며, 30억 원 이상의 대출도 전략영업부의 현장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기업대출 심사 과정에 전문성을 강화하며 대출 유치와 관리를 동시에 잡겠다는 계산이다.
하나은행은 AI 기술을 활용한 ‘기업 하이챗봇’을 통해 기업 고객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예적금, 대출, 외환 상품까지 챗봇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왜 기업금융인가? 새로운 시장과 안정된 수익
은행들이 기업금융을 강화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연초에 우량 기업대출을 늘려야 1년 동안 이자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는 월별·분기별 모니터링까지 강화될 예정이라, 은행 입장에서 가계대출을 통한 수익 확보가 더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기업대출은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안정적 수익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비중은 이미 전체 여신의 절반을 넘어섰고, 장기적으로 이 비중을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기업대출 확대로 인해 부실 채권 증가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일부 중소기업의 상환 부담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의 기업금융 강화 전략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한계차주 문제와 경기 하강 압력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기업대출은 은행 수익의 새로운 축이 될 수 있지만, 부실 관리가 동반되지 않으면 자칫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도 이어질 가계대출 규제 속에서, 시중은행들이 기업금융을 통해 어떤 돌파구를 마련할지 관심이 쏠린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발생할 부작용과 대책에 대한 금융당국과 은행의 긴밀한 협력도 요구되고 있다.
밑에 또라이 뭐냐?
국가 국민부채 급상승 해소없인 국가경제 파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