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형 전기차로 내연기관 제치다
캐스퍼 일렉트릭, 전기차 캐즘 돌파
출고 대기만 22개월…

현대자동차의 소형 전기 SUV ‘캐스퍼 일렉트릭’이 올해 초반 내연기관 모델의 판매량을 뛰어넘으며 전기차 시장에서 이례적인 성과를 거뒀다.
보조금 불확실성과 전기차 수요 정체 국면 속에서도 높은 소비자 수요를 입증한 이 차량은, 작지만 강력한 상품성과 실용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가 내연기관 앞질렀다
현대자동차가 지난 1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캐스퍼 차량 총 5699대 중 전기차 모델인 ‘캐스퍼 일렉트릭’이 3215대를 차지해 내연기관 모델(2484대)을 앞질렀다.
전동화 모델이 전통적인 내연기관 모델보다 더 많이 팔린 사례는 드물다.

특히 내연기관을 전동화한 모델이 이 같은 실적을 기록한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다.
같은 기간 현대차 코나는 내연기관 6238대, 전동화 1198대가 판매됐고 기아 레이의 경우 전기차 2423대에 비해 내연기관 모델이 1만 4586대로 약 6배 더 많았다.
전기차 시장이 보조금 지연 등으로 위축된 1월을 제외하면, 2월부터 4월까지는 매월 꾸준히 캐스퍼 일렉트릭이 내연기관 모델보다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일부 트림은 출고 대기 기간이 14개월에 달하며 투톤 루프 및 매트칼라 선택 시 22개월까지 길어졌다.
실용성으로 무장한 작은 전기 SUV
캐스퍼 일렉트릭은 지난해 7월 첫 공개됐으며 기존 경차 플랫폼 기반의 소형 SUV로 크기를 키워 개발됐다.

휠베이스는 180mm, 트렁크 길이는 100mm 늘려 2열 레그룸과 적재 공간이 크게 향상됐다. 기존 233리터였던 적재 공간은 280리터로 증가했다.
여기에 국내 최초로 적용된 ‘페달 오조작 방지 시스템’, 10.25인치 컬러 클러스터 및 내비게이션, 앰비언트 무드램프, 인터랙티브 픽셀 라이트 스티어링 휠 등 편의성과 감성 품질을 모두 강화했다. 스티어링 칼럼 일체형 전자식 변속 칼럼은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주행 성능도 눈에 띈다. 49kWh NCM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 315km(15인치 알로이 휠, 인스퍼레이션 트림 기준)를 확보했다. 급속 충전 시 30분 내 10%에서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올해 1~4월 동안 캐스퍼 일렉트릭은 내연기관 모델을 앞지른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내연기관 기반의 전동화 모델이 소비자 수요를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전기차 보조금 지연 및 시장 정체 국면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한 결과다.

실내 공간 확대, 다양한 편의 사양, 보조금 등 적용 시 2천만 원대 중후반의 가격 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업계는 이러한 흐름이 전동화 모델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보고 있다.
레이 전기차 후속이나 개발해라 짐이나 여러 용도 면에서 캐스퍼 보다 훨더 실용적일듯
캐스퍼급 레이 나오면 세컨 카로 바로 지른다
걍 미니가 더나은듯
월 천대도 안 팔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