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붙었다”… ‘결국’ 중국에 칼 빼든 미국, 과연 한국은 괜찮을까?

시장 뒤흔드는 중국산 자동차에
다시금 칼 빼든 미국, 과연?
미국
미국의 중국산 자동차 규제 / 출처 : 뉴스1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중국에 미국이 다시 한번 칼을 빼 들었다.

오는 2027년부터 중국의 소프트웨어를 쓰는 커넥티드 차량을 금지하는 규칙이 미국에서 발표되면서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23일, 미 상무부는 특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커넥티드 차량의 판매와 수입을 금지하는 내용의 잠정 규칙을 공개했다.

규제 대상에는 차량 연결시스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자율주행시스템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있다.

미국
미국의 중국산 자동차 규제 / 출처 : 뉴스1

문제는 미 상무부가 규정한 규제 대상으로 ‘중국, 러시아와 연계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라고 명시했다는 점이다.

미 상무부는 중국과 러시아의 경우 미국에 적대적인 국가이기 때문에, 이를 수입하거나 판매할 경우 미국의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위협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게 표면적으로 밝힌 이유지만,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중국에 대한 견제’라고 보았다.

앞서 미국은 중국산 전기차 규제를 위해 현행 25%였던 수입 관세를 100%로 전격 올렸던 바 있다.

미국의 중국 견제, 한국에는 좋은 소식일까?

미국
미국의 중국산 자동차 규제 / 출처 : 연합뉴스

미 상무부의 입장에 글로벌 자동차 업계도 함께 술렁거리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 또한 마찬가지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이번 커넥티드 카 규제가 한국에는 위기보다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했다.

현재 전기차와 커넥티드 서비스 분야에서 중국 자동차 업체와 경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이를 틈 타 미국 시장을 파고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의 경우, 자율주행 등의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미국
미국의 중국산 자동차 규제 / 출처 : 연합뉴스

실제로 구글의 자율주행 자회사인 웨이모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 탑재 차량으로 중국 지리의 전기차를 확정했으나 현대차 아이오닉5로의 대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이 밖에도 이번 규정안으로 인해 국내 자동차 부품 업계 또한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해석 또한 나왔다.

규제로 인하여 중국산, 러시아산 부품들이 빠져나가면 빈자리가 생길 텐데, 이 자리를 국내 부품업계가 채울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의 규제 발표와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도 민관 대응회의를 개최하는 등 국내 자동차 업계가 바빠진 가운데, 과연 어떤 결과로 돌아올 것인지에 많은 사람의 시선이 주목되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관심 집중 콘텐츠

현대차자동차그룹,美 제이디파워 신차품질조사 2년 연속 1위

“BMW·벤츠 아니었다”…가장 불만 없는 차 1위로 뽑힌 주인공

더보기
볼보 신형 XC90 가격

“수입 플래그십을 이 가격에?”… 신형 플래그십 SUV 가격표 공개

더보기
현대차그룹 '세계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 선정

“삼성도 SK도 아니었다” 미국 언론도 ‘홀딱’ 반한 한국 기업, 어딘가 봤더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