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이 통했다 “이렇게 잘 나갈 줄이야”… 놀라운 성과에 기대감 ‘활짝’

놀라운 성장세 보여주는 자동차 산업,
하지만 불확실성도 남아있다
자동차
국내 자동차 업계의 성과 / 출처 : 연합뉴스

“힘든 시기인데도 이만큼 좋은 성과를 거두다니, 대단하다”, “지금 한창 잘 나가고 있으니까 앞으로도 이 정도로만 잘 되면 좋겠네”

한국 자동차 산업이 ‘트리플 플러스’ 성과를 거두었다. 생산, 내수, 수출이 모두 증가하면서 만족스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는 뜻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0월 자동차 생산량은 36만 8천 대로, 전년 대비 7.8% 증가했으며, 신차 출시와 조업 일수 증가가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내수는 하이브리드차의 높은 인기를 바탕으로 14만 6천 대를 기록하며 3.1% 증가했다.

자동차
국내 자동차 업계의 성과 / 출처 : 연합뉴스

하이브리드차 판매는 4만 9천 대로, 월간 판매 기록을 경신하며 전반적인 내수 성장에 기여했다.

자동차 수출 또한 큰 폭으로 증가했다. 10월 수출액은 62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5% 늘어나며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하이브리드차 수출액은 11억 달러에 달해 사상 최고 실적을 달성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기를 증명했다.

산업부는 “11월에도 주요 자동차 업계의 코리아세일페스타 참가로 수출의 온기가 내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지 생산 확대 나서며 불확실성 타파하는 자동차 업계

자동차
국내 자동차 업계의 성과 / 출처 : 연합뉴스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업계는 미국의 정치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과거 ‘국가안보’를 이유로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려 했으나, 코로나19 상황으로 시행하지 못한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가 재집권한 이상, 관세를 높이려는 조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은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만큼, 현대차와 기아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관세 면제 혜택을 받아온 부분이 위협받을 수 있다.

자동차
국내 자동차 업계의 성과 / 출처 : 연합뉴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차와 기아는 트럼프의 관세 확대에 대비해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려 한다.

현재 알라바마와 조지아 공장에서는 연간 74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할 수 있으며,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도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 생산을 포함해 연 50만 대의 생산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과의 통상 이슈는 자동차 업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현지 생산 확대와 함께 지속적인 시장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KGM 액티언 하이브리드 출시

토레스 성공 “아직 만족 못 해”…새 하이브리드 출시 준비하는 KGM

더보기
혼다 HR-V 하이브리드 유럽 출시

“코나와 비슷한 가격”…한번에 740km 주행하는 콤팩트 SUV

더보기
벤츠 BMW 4월 가격 인상

“BMW도 벤츠도 돌변”… 4월부터 바뀌는 가격 정책에 ‘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