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사이버트럭
3.5톤에 달하는 무게로 인해
1만km 주행 후 타이어 완전 마모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타이어가 약 1만km 주행만에 완전히 마모돼 충격을 주고 있다.
테슬라 사이버트럭 타이어 마모 속도, 일반 승용차 대비 3배
미국의 한 사이버트럭 소유자가 6,251마일(약 1만 60km)을 주행한 후 타이어가 완전히 마모된 사진을 공개했다.
테슬라 사이버트럭 오너스 포럼에 게시된 글에 따르면, 해당 소유자는 테슬라의 권장 지침에 따라 주행 거리 약 1만km 이후 타이어 교체를 위해 서비스센터를 방문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된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문제가 된 타이어는 마일리지 보증이 제공되지 않는 굿이어 테리토리 올터레인 제품이다.
차주는 아껴 사용했다고 주장했지만, 타이어 트레드는 이미 교체가 필요할 정도로 닳아 있었다. 트레드 블록의 가장자리는 전체적으로 찢어졌다.
타이어 정비 전문가들에 따르면 1만km 주행 후 이러한 마모는 매우 드문 일이다. 사이버트럭의 845마력에 달하는 높은 출력과 3.5톤의 무거운 중량이 결국 타이어 마모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무게가 무겁고 출력이 높을수록 타이어 마모가 빠르게 진행된다. 보통 승용차의 타이어 교체 주기는 약 3만km 내외로 알려져 있다.
리비안 차량도 6000마일만에 타이어 마모
전기차에서의 타이어 마모 문제는 사이버트럭만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 리비안 소유자들도 6,000마일(약 9,656km) 주행 후 타이어가 거의 다 닳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주목할 부분은 ‘보존(Conserve)’ 모드다. 해당 모드 활성화 시 R1T와 R1S는 전륜구동처럼 작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이 두 배로 늘어나면서 타이어 마모가 가속된다. 리비안의 무거운 차체도 타이어 마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마모가 적은 단단한 타이어 컴파운드는 보다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그립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가속과 제동 성능이 저하되고 핸들링이 나빠지는 결과를 낳는다.
반면 부드러운 타이어를 선택할 경우 주행 성능이 회복되나 타이어가 빠르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다. 접지력이 좋은 타이어는 퍼포먼스를 향상시키지만, 사이버트럭처럼 빠른 마모를 피하기 어렵게 된다.
결국 3톤이 넘는 무거운 전기차의 경우 타이어 교체 주기가 1만~1만5000km로 줄어들어 일반 승용차의 타이어 수명 대비 2분의 1, 3분의 1 수준으로 짧아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언론의 쓰렉 기사는 70% 털고 믿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