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휘청거리자… 현대차 ‘결국 승부수’ 던졌다

전기차 주춤거리는 캐즘 속
돌파구 찾기 위한 노력
현대차
현대자동차의 EREV 양산 계획 / 출처 : 현대자동차 제공

“한창 잘 나가는 것 같더니, 참 안타깝게 됐지”, “요즘 전기차 안 산다고 하는 사람 많던데, 업계들도 고민이 많겠어”

잘 팔리던 전기차가 주춤거리는 지금, 캐즘을 돌파할 방법으로 현대차가 새로운 방법을 꺼내 들었다.

바로 발전기를 단 자동차,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다.

지난 2010년, 미국 제너럴모터스(GM)를 통해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EREV는 당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현대차
쉐보레의 EREV / 출처 : 쉐보레=볼트 EREV

당시 GM의 ‘쉐보레 볼터’가 구현한 방식은 차에 탑재한 배터리로 최대 80km까지 달린 후, 내연기관 엔진을 가동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계속 모터를 돌리면서 한 번 충전으로 최대 414km까지 달릴 수 있었지만, 전기차라고 하기에도, 내연기관 차라고 하기에도 애매했던 탓이다.

그러나 10년 뒤, EREV는 완성체 업체들에 의해서 입지를 찾을 수 있었다. 하이브리드 차와 전기차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EREV는 전기차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전기차와 같은 가속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대차
EREV /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충전 인프라가 없어도 되는 데다 이산화탄소도 상대적으로 덜 배출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친환경 시대에 걸맞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해석이다.

현대차·기아도 뛰어든 EREV, 과연 타파할 수 있을까?

이에 리오토, 샤오미, 니오 등의 중국 완성차 업체가 뛰어들었으며 그 뒤를 이어 현대차·기아 또한 EREV 양산 계획을 공식화했다.

지난달 28일, 현대차는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처음으로 EREV 계획을 발표하였다.

현대차
현대자동차의 EREV 양산 계획 / 출처 : 연합뉴스

2026년 말부터 북미와 중국에서 양산을 시작해 2027년부터 판매에 나선다는 계획을 밝힌 현대차는 “하이브리드 차와 전기차의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어 현대차는 하이브리드 차와 EREV를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전기차 모델 21종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EREV는 중국을 중심으로 시장을 형성했으며, 지난 2023년 중국 내 EREV 판매량만 60만 대를 넘어섰다.

올해는 판매량 100만 대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현대차 외 스텔란티스, 포드 등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 또한 EREV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과연 전기차 업계에 찾아온 ‘고난의 시기’를 EREV를 통해 타파할 수 있을 것인지, 업계 관계자와 전문가들의 시선이 몰린 시점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6

  1. 하튼,중국 어떻하든 좋고,앞서간다는 글을 쓸려고 애쓴다.
    하영상 기자아..니가 쓰는 글이 매국노 짓인지 알고나 쓰냐,
    아님,돈을 받아쳐 먹었냐..

    니 낳고 미역국 쳐드신 니 에미가 불쌍타..

관심 집중 콘텐츠

국내 중소형 자동차 인기

“작은 차가 대세다”…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확인된 중소형 차량의 ‘급부상 이유’

더보기
BYD 아토3 출고 연기

야심차게 한국 진출했지만 “출고 안 된다”…무슨 일이길래

더보기
토요타 C-HR+ 가격

하이브리드 시장 1등 “만족 못 해”… 이제는 콤팩트 SUV로 전기차 넘본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