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규모에 “인기 차종까지 포함”…車 리콜, 차주들 어쩌나

리콜
출처 – 게티이미지

올해 국내에서 제작 결함으로 인해 자발적 시정조치(리콜)가 단행된 자동차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리콜센터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시정조치가 내려진 차량은 1,684종에 달하며 총 514만2,988대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169만1,870대)의 약 3배에 달하며, 종전 최고치였던 2022년의 324만7,296대를 크게 뛰어넘는 수치다.

제조사별로는 현대차그룹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현대차(245만6,959대)와 기아(161만7,725대)를 합쳐 총 407만4,684대가 리콜 대상에 올랐으며, 이는 전체의 79.2%에 달한다.

리콜
출처 – 연합뉴스

뒤이어 BMW코리아(35만8,212대, 7.0%), 테슬라코리아(21만136대, 4.1%), 르노코리아(13만3,760대, 2.6%)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11만5,933대, 2.3%)가 뒤를 이었다.

리콜의 주요 원인은 차량 제동장치(213만529대), 전기장치(120만2,928대), 동력발생장치(44만7,572대) 등이었다.

인기 차종 포함돼 리콜 규모 급등

현대차의 인기 차종인 그랜저(34만8,651대)와 싼타페(20만3,793대)는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문제로 화재 위험성이 제기되었고, 쏘나타(31만2,744대)는 에어백 제어장치 오류로 시정조치됐다.

리콜
출처 – 연합뉴스

기아의 경우, K5가 HECU와 에어백 제어장치 문제로 각각 21만283대, 12만2,178대가 리콜됐다. 이 밖에도 스포티지, 쏘렌토 등 다수의 차량에서 결함이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리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자동차 기술의 복잡성을 꼽았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자동차가 옛날처럼 단순한 기계 부품이 아니라 전기·전자의 융합 제품이기 때문에 굉장히 복잡해졌다”며 “소프트웨어 등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기술 발전이 리콜 증가에 영향 미쳐

기술의 발전은 자동차 리콜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핵심 부품인 통합충전제어장치(ICCU) 오류로 올해만 16만9,932대의 차량이 리콜되었다. 현대차 아이오닉5·6, 기아 EV6 등이 포함된 이번 리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전기차 리콜로 기록되었다.

리콜
출처 – 게티이미지

ICCU는 배터리 충전과 전력 관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소프트웨어 오류가 발생하면 주행 중 시동이 꺼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달에도 현대차 11만9,774대와 기아 5만8,608대가 같은 이유로 리콜됐다.

김 교수는 “리콜이 선제적인 조치로서 긍정적인 요소가 있다 하더라도 소비자에겐 불편한 것”이라면서 “제작사가 신차 테스트 등을 보강함으로써 리콜을 줄이는 노력을 더 해야 한다”고 말했다.

리콜
출처 – 연합뉴스

자발적 시정조치가 소비자의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긴 하지만, 빈번한 리콜은 소비자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더욱 철저한 품질 관리와 기술 검증으로 소비자 불안을 해소해야 할 시점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일본 출시

잘 나가는 현대차도 “여기선 힘 못써”…결국 작은 車로 승부 본다

더보기
KGM 티볼리10주년

“2030세대가 먼저 알아봤다” 10년째 사랑받는 소형 SUV의 비결

더보기
더 뉴 Q6 e-트론 가격

벤츠·BMW에 밀리자 “이대로는 안 돼”… 신차 줄줄이 내놓는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