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 테스트로 드러난 진짜 실력
레인지로버, 전기차로 명품 SUV 재정의
혹한 속 7만km 주행으로 성능 입증

JLR(재규어 랜드로버) 코리아는 19일,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프로토타입이 스웨덴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혹한 속 겨울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브랜드 역사상 두 번째 북극권 테스트 시즌으로, 누적 주행거리만 총 7만 2000km에 달한다.
전기 SUV의 한계를 시험하다
JLR 코리아에 따르면 이번 테스트는 혹독한 환경에서 차량의 전동화 성능과 내구성을 검증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테스트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의 얼음 호수와 눈 덮인 경사 구간에서 진행됐으며 차량은 극저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해야 했다.

테스트의 핵심은 새롭게 도입된 열관리 기술 ‘써마시스트(ThermAssist)’의 성능 평가였다. 이 기술은 외부 온도가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차량 추진 장치와 실내 공간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남은 열을 회수해 난방 에너지 소비를 최대 40%까지 줄이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혹한에서도 승객은 항상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토마스 뮐러 JLR 제품 엔지니어링 수석 디렉터는 “예측 불가능한 북극권의 조건 속에서 진행된 이번 테스트는,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이 실제 주행 상황에서도 신뢰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준 중요한 기회였다”고 밝혔다.
정숙성과 지형 대응력, 전기차에서도 그대로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전동화 모델이지만 기존 레인지로버 특유의 고급스러운 주행 감각과 정숙성은 그대로 계승됐다.

차량에는 싱글 페달 드라이빙 기술이 적용되어, 운전자가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것만으로 차량이 감속 또는 완전히 정지하고 힐 홀드 기능까지 작동한다.
이 기능은 회생 제동 시스템과 정밀하게 연동되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동시에 전자동 지형 반응 시스템과도 연계된다.
특히 이번 북극 테스트에서는 28도 경사의 빙판길과 접지력이 불균형한 17도 경사로에서도 우수한 주행 성능을 입증했다.

전기차의 무게 배분 특성을 고려해 개선된 ‘전환형 트윈 챔버 에어 서스펜션’은 차체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제어한다. 이 기술은 주행 중에도 차체의 수평을 유지하며 고급스럽고 안정적인 주행감을 구현한다.
매트 베커 JLR 차량 엔지니어링 디렉터는 “전기차는 내연기관보다 훨씬 더 섬세한 차체 반응이 요구된다. 이번 모델은 주행 반응성을 높이고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켜, 레인지로버 특유의 주행 감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북극의 얼음 트랙 위에서 드러난 전동화 기술력
사륜구동 시스템도 전기차에 맞게 새롭게 설계됐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지능형 드라이브라인 다이내믹스(IDD) 기술을 통해 리어 토크를 0%에서 100%까지 자유롭게 배분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은 접지력을 빠르게 인식해 슬립 현상을 방지한다.

기존 내연기관 차량 대비 슬립 제어 속도는 최대 100배 빠르다. 모터 속도는 50밀리초 이내로 제어된다.
아울러 통합 트랙션 매니지먼트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모든 노면 조건에서도 접지력을 확보, 사계절 내내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케 한다.
더불어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에는 JLR이 자체 설계·제조한 800V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된다. 총 344개의 프리즘 셀로 구성된 117kWh 배터리는 셀투팩(Cell to Pack) 구조를 적용해 에너지 밀도, 주행거리, 충전 속도를 최적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북극 테스트를 마친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프로토타입은 고객 예약을 앞두고 있다. 이후에도 성능 검증과 내구성 확보를 위한 철저한 개발 프로그램을 계속 이어갈 예정이다.
갖고싶다..!
이차타려면 3대 필요하단 애기도 쓰셔야지. 수리중인차, 수리 대기중인 차, 타는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