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확 바뀌더니 “단 한 대만 포함됐다”… 2025년 보조금 수혜 車는

2025년 전기차 보조금 발표
최대치는 580만 원
2025년 전기차 보조금
EV6/출처-기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새롭게 발표되면서 자동차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환경부가 설정한 새 기준에 따르면, 기아의 ‘더뉴 EV6 롱레인지 2WD’ 모델이 올해 최대 보조금 수혜 차량으로 확정됐다.

반면, 테슬라 모델 Y를 포함한 일부 인기 수입차의 보조금은 축소됐다. 새로운 정책이 소비자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더 엄격해진 2025년 전기차 보조금 기준

환경부는 1회 충전 주행거리 440km를 기준으로 국비 보조금을 책정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다.

2025년 전기차 보조금 기준 강화
EV6/출처-기아

이에 따라 기아 ‘더뉴 EV6 롱레인지 2WD’는 최대 보조금인 58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차량으로 선정됐다.

최대 보조금 한도가 650만 원에서 580만 원으로 줄어든 만큼, 소비자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테슬라는 모델 Y가 169만~202만 원, 모델 3는 183만~202만 원의 보조금을 받는다. 지난해 각각 210만~235만 원, 226만~235만 원이었던 것에 비해 감소했다.

2025년 전기차 보조금
모델 Y/출처-테슬라

현대차는 캐스퍼 일렉트릭 500만 원, 코나 일렉트릭 447~524만 원,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 275만 원, GV70 전동화 모델 244~266만 원, GV60 236~287만 원의 보조이 책정됐다.

국내 시장에 진출한 중국 BYD는 보조금 산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예상 주행거리가 짧아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 EV6 스탠다드, 3600만 원대 구매 가능

기아 EV6 롱레인지는 세부 모델에 따라 542만~580만 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EV6 스탠다드는 511만 원으로 책정됐다.

2025년 전기차 보조금
EV6/출처-기아

특히 스탠다드 모델은 기본 가격이 롱레인지보다 약 400만 원 낮아, 실구매가 부담을 줄이려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되고 있다.

참고로 현재 지자체 보조금이 가장 큰 영주시(528만 원)에서는 EV6 스탠다드를 3621만 원(라이트 트림 기준)에 구매할 수 있다.

한편 환경부는 구매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다양한 추가 지원책을 마련했다.

차상위 계층 및 청년의 첫 차 구매 시 국비 보조금의 20%가 추가 지급되며, 다자녀 가구와 택시용 전기차에도 추가 혜택이 제공된다.

2025년 전기차 보조금 기준 강화
캐스퍼 일렉트릭/출처-현대차

새로운 보조금 정책이 소비자의 구매 패턴과 자동차 제조사들의 전략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시장의 향방이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토요타 C-HR+ 가격

하이브리드 시장 1등 “만족 못 해”… 이제는 콤팩트 SUV로 전기차 넘본다

더보기
르노 신형 메간 E-Tech 공개

“그랑 콜레오스가 끝이 아니었다”…르노, 더 스포티해진 SUV 공개

더보기
BMW iX JD파워 소비자 만족도 1위

“디자인보다 중요한 게 있었다”… 논란의 전기 SUV, 소비자 평가 최고점 ‘반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