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전기차 화재 “정부 결국 칼 빼들었다”…완성차 업체들 ‘발칵’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불안감만 높아지는 가운데,
드디어 정부가 나섰다
전기차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 / 출처 : 뉴스1

앞서 8월 초, 인천 청라 아파트에서 발생했던 전기차 화재 사고의 주원인으로 지목되었던 것은 배터리였다.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신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불안감이 높아지자 결국 정부가 ‘초강수’를 내밀었다.

앞으로 제조사는 국내에서 판매하는 전기차의 배터리 주요 정보를 반드시 공개해야 한다.

인천 청라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을 불길에 휩싸이게 만들었던 메르세데스-벤츠의 EQE 350+ 모델.

전기차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 / 출처 : 뉴스1

당시 벤츠 EQE 모델에 탑재된 배터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사람들의 궁금증이 모였지만, 메르세데스-벤츠는 화재 사고 이후 12일 만에야 배터리의 제조사를 공개했다.

화재 사고 이후 현대차, BMW 등이 배터리 정보를 공개하기는 했으나,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에 정부는 6일, 전기차 화재 사고에 따른 후속 조처를 공개하면서 배터리 정보 공개에 대한 내용 또한 포함했다.

배터리 정보 낱낱이 공개하고, 정부의 인증까지

전기차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 / 출처 : 뉴스1

현재 전기차 제조사에서 공개하는 배터리 정보는 용량, 최고 출력, 정격 전압 정도로 알려졌다.

앞서 모든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 자율 공개를 권고했던 정부는 이날 배터리에 관련된 주요 정보 공개를 의무화했다.

공개해야 하는 항목에는 셀 제조사, 형태, 주요 원료와 베터리 제조사, 제조 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원래 내년 2월부터 시행할 예정이었던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의 시범 사업을 다음 달로 앞당겨 착수할 예정이다.

전기차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 / 출처 : 뉴스1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란 전기차를 제작할 때 정부가 배터리의 안전성을 사전에 인증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정기 검사의 경우 배터리 검사 항목에 셀 전압, 배터리 온도와 충전 및 열화 상태 등을 추가적으로 검사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 또한 내년 2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실시간으로 전기차 배터리 상태를 감지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사용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고, 제조물 책임 보험 가입 의무화 또한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전기차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전기차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 / 출처 : 연합뉴스

앞으로도 관계 부처와의 논의를 통해 대책을 마련하고 이행하겠다고 약속한 지금, 정부의 대책으로 다시금 전기차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인증제로 인하여 전기차 보급뿐만 아닌, 전기차 중고차 시장 또한 다시금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지커 007 GT 공개

스펙만 봐도 심상찮은 車 “베일 벗었다”..이게 중국차라니

더보기
대형차 친환경 기준 완화

“수입 전기차는 발동동” 정부 새 기준에 국산차 업계 ‘환호성’

더보기
테슬라 모델 Y 재고 할인

“550만원 깎아준다고?” 신형 출시 앞두고 가격 확 낮춘 프리미엄 전기 車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