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ATL, 120km/h
배터리 충돌 테스트 진행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가 세워졌다.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CATL이 기존 충돌 테스트 기준을 4.7배나 상회하는 혁신적인 안전성 테스트 결과를 공개했다.
CATL의 이번 발표는 전기차 설계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획기적인 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기존 안전성 테스트 기준을 크게 뛰어넘는 성능을 입증함으로써, 전기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20km/h 충돌에도 끄떡없는 베드락 섀시
CATL이 발표한 ‘베드락 섀시’는 단순한 전기차 부품 이상의 혁신이다. 이 섀시는 배터리 셀과 섀시를 직접 통합한 셀 투 섀시(Cell-to-Chassis)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CATL은 120km/h로 진행한 전면 충돌 테스트에서 화재나 폭발 없이 차량이 완벽히 견뎠다고 강조했다.
중국 기준 안전 테스트(C-NCAP)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정면 충돌 속도는 56km/h에 불과하다. 이는 약 12m 높이에서 떨어지는 에너지와 동일한 수준이다.
반면 CATL이 도입한 120km/h 충돌 테스트는 56m 높이에서의 충돌 에너지와 같으며, 기존 테스트보다 약 4.7배 더 가혹한 조건이다.
CATL은 이러한 극한 조건에서 충돌 에너지의 85%를 흡수할 수 있는 설계를 실현했다. 흡수율이 60%인 기존 섀시를 크게 뛰어넘는 성능이다.
더불어 충격 후 0.01초 이내에 고전압 회로를 차단하고, 0.2초 안에 차량 내 잔여 고전압 에너지를 방전시키는 기술도 도입해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했다.
초안전 기술로 전기차 설계의 한계를 넘다
CATL의 베드락 섀시는 초안전 배터리 셀 설계와 NP 기술, 고연성 에너지 흡수 절연 필름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을 통합했다.
배터리 셀은 60km/h의 고속 썰매 충격, 90도 굽힘, 돌파 톱질 같은 극한 시험을 모두 견뎌냈다.
CATL은 이번 기술 발표를 통해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안전하지 않다는 기존 고정관념을 뒤집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더불어 베드락 섀시를 도입하면 개발 기간이 36개월 이상에서 12~18개월로 단축돼 전기차 대량생산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기술이 1조 위안(한화 약 200조 원) 규모의 전기차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베드락 섀시가 최초로 적용될 차량은 CATL과 협력 중인 아바타(AVATR)의 신모델로 예정돼 있다.
충돌 테스트를 통해 입증된 베드락 섀시의 안전성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간 안전성 논란을 종결짓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기술은 전기차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고 대중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중국에서 자체 테스트한걸 믿을수 있을까?
이 기레기ㅅㄲ는 중국기업 홍보에 신났다. 무얼 처먹었냐?
놀구있다 짱깨차 광고질 사지말자 짱깨국차 천년의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