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이제 걱정 없을지도”…속도 한계 깨뜨리는 기술 공개한 ‘이 회사’

BYD, ‘슈퍼 e-플랫폼’ 공개
5분 충전에 400km 주행 가능
BYD 슈퍼 E 플랫폼 공개
BYD 탕 L-BYD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기존 전기차 충전 속도의 한계를 깨뜨리는 기술을 공개했다. 단 5분 충전으로 400km 주행이 가능하다는 발표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놀라움을 안겼다.

테슬라를 비롯한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긴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과연 BYD의 혁신이 전기차 시장에 어떤 변화를 몰고 올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5분 충전으로 400km 주행… BYD의 ‘슈퍼 E 플랫폼’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BYD 공식 웨이보 등에 따르면, BYD는 자사 본사에서 열린 발표회를 통해 ‘슈퍼 E 플랫폼(Super E-Platform)’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1000V 고전압과 1000kW 충전 전력을 구현하며 단 5분 충전만으로도 400km 주행이 가능하다.

BYD 슈퍼 E 플랫폼 충전 속도
한 L EV(왼), 탕 L EV(오)/출처-BYD

이는 현재 업계 최고 수준을 뛰어넘는 성능이다. 테슬라의 슈퍼차저는 15분 충전 시 약 275km의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최근 메르세데스-벤츠가 공개한 CLA 전기 세단 역시 10분 충전으로 325km를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를 고려하면 BYD의 신기술은 전기차 충전 속도에서 ‘게임 체인저’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BYD는 다음 달부터 ‘한 L’ 세단과 ‘탕 L’ SUV에 이 기술을 최초 적용해 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중국 전역에 4000개 이상의 초급속 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BYD 슈퍼 E 플랫폼 충전 속도
한 L EV(왼), 탕 L EV(오)/출처-BYD

다만 이번 발표에서 배터리 종류나 용량 등 세부 사항이 공개되지 않아, 업계 전문가들은 실제 성능과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 이제 내연기관 주유 수준으로

BYD의 이번 발표는 전기차 충전 속도를 내연기관 차량의 주유 시간과 동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왕촨푸 BYD 회장은 “충전 속도 부분에서 ‘석유와 전기의 동일한 속도’를 이뤄냈다”라고 선언하며 이는 전기차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BYD 슈퍼 E 플랫폼, 탕 L EV 적용
BYD 탕 L-BYD

BYD의 슈퍼 E 플랫폼은 1초에 1마일(약 1.6km) 주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전기차 충전 기술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다.

현재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의 대다수는 400V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200kW급 충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현대차·기아가 채택한 E-GMP 플랫폼조차 800V 기반 350kW 초급속 충전이 한계다.

이에 비해 BYD는 1000V와 1000kW 충전 속도를 구현함으로써 경쟁사들과의 격차를 벌렸다.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계 ‘초긴장’

전기차 업계에서 충전 속도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다. BYD의 기술이 상용화되면 테슬라, 메르세데스-벤츠 등 주요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큰 위기를 맞을 수 있다.

테슬라는 현재 250kW급 충전 속도를 제공하는 V3 슈퍼차저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V4 버전을 통해 성능을 개선할 예정이지만 BYD의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BYD 슈퍼 E 플랫폼 공개
BYD 한 L EV/출처-MIIT

BYD는 중국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을 준비 중이다. 그런 만큼 슈퍼 E 플랫폼의 해외 도입 가능성이 높다.

다만, 1000kW급 초급속 충전을 지원하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글로벌 시장에서의 도입 시기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BYD 슈퍼 E 플랫폼, 한 L EV 적용
BYD 한 L EV/출처-MIIT

한편, BYD는 이번 발표를 통해 단순한 전기차 제조업체를 넘어 전기차 인프라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충전 시간이 짧아지면서 전기차의 대중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BYD의 기술 혁신이 전기차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 것인지, 그리고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4

관심 집중 콘텐츠

기아 전기차 테슬라 슈퍼차저 도입

라이벌과 동맹 맺은 K-전기차 “약점 극복했다”… 뜻밖의 결정에 ‘주목’

더보기
KGM 1분기 흑자 달성

적자는 옛말 “11년 만의 대기록”…3년 연속 흑자 중인 ‘국산 브랜드’

더보기
메르세데스 벤츠 신형 CLA 롱바디 공개

866km 주행하는 車 “드디어 베일 벗었다”…벤츠, 럭셔리 세단 공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