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전 예약 돌입한 ‘BYD 씰’
2022년 5월 출시된 구형 버전으로 알려져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가 잇따라 한국에 구형 모델을 들여오면서, ‘저가 공세’의 배경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싸니까 산다’는 단순한 계산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 BYD의 판매 전략이 국내 소비자 신뢰를 시험대에 올려놓고 있다.
‘신차’라더니 알고 보니 구형…3년 전 모델 들고 온 BYD
중국 전기차 업계의 강자인 BYD가 국내 시장에 선보인 중형 전기 세단 ‘씰(SEAL)’이 출시 전부터 논란의 중심에 섰다.

BYD코리아가 올해 3분기 출시를 예고한 이 차량은 530마력 듀얼모터 기반의 고성능 모델로, 테슬라 모델3 퍼포먼스나 현대 아이오닉6 N과의 경쟁을 예고하며 큰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국내 투입 모델이 현재 중국에서 판매 중인 모델보다 이전 버전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미 800V 고전압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씰의 최신형 모델이 출시돼 판매 중이다.
해당 신형은 전기 파워트레인을 8-in-1에서 12-in-1으로 업그레이드했으며 루프에는 라이다(LiDAR) 센서를 탑재해 자율주행 성능도 강화됐다.
실내 역시 사실상 완전 변경에 가까운 수준으로 개선됐다. 그러나 한국에는 이 모든 업그레이드를 반영하지 않은 구형 모델이 판매될 예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처음이 아니다. BYD가 올해 초 국내에 선보인 첫 모델 ‘아토3’ 역시 중국에서는 이미 부분변경 모델이 출시된 상태였다. 당시에도 “차 키 받기도 전에 구형”이라는 비아냥이 나왔으며 보조금 인증 지연까지 겹쳐 소비자 불만이 커졌었다.

이번 씰 역시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전시 행사에서 씰을 공개하고 사전예약을 시작한 직후, 해당 모델이 2022년 5월 처음 출시된 구형이라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또 한 번 ‘재고 떨이’ 의혹이 고개를 들었다.
한국은 ‘구형 전기차 수출의 최적지’?
BYD가 한국 시장에 구형 모델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데는 명확한 이유가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중국 전기차에 대해 각각 145%, 27%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는 고작 8% 수준이다. 물리적 거리도 가깝고 물류비용도 저렴한 한국은, 과잉 생산 문제에 직면한 BYD 입장에서 ‘이상적인 수출 시장’이다.

이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BYD의 전략을 “글로벌 구형 모델 밀어내기”라고 지적한다. 재고로 남은 이전 세대 모델을 상대적으로 규제가 느슨하고 진입 장벽이 낮은 시장으로 내보내면서, 판매를 극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BYD가 국내에 선보일 예정인 다음 전기 SUV 모델 ‘씨라이언7’ 역시 구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할 것이란 전망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가격은 저렴한데, 성능과 보조금은?
씰의 가격은 후륜 모델 기준 약 4750만 원, 사륜 모델 기준 5250만 원으로 예상된다. 이는 경쟁 모델 대비 1500만 원 이상 저렴한 수준이다.
성능 측면에서는 제로백 3.8초, 530마력의 출력 등으로 고성능을 자랑한다. 게다가 나파가죽 시트,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3D 서라운드뷰, 음성 인식 등 프리미엄 사양이 대거 탑재돼 가격 대비 사양 면에서는 확실히 매력적인 구성이다.

하지만 이 가격 경쟁력의 기반이 ‘구형 모델’이라는 점은 소비자 신뢰를 저해하는 요소다. 게다가 사용된 배터리가 리튬·인산·철(LFP) 타입인 만큼, 정부 보조금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실제로 같은 배터리를 사용한 아토3는 국고 보조금으로 145만 원만 지급받았다. 씰 역시 유사한 수준의 지원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전기차 구매보조금 제도 개편도 BYD에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국내 전기차 제조사의 할인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차량 가격을 일정 금액 이상 할인할 경우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매칭 보조금’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 기아 등 국산 브랜드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 BYD 차량은 보조금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
싸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BYD의 국내 전기차 판매 전략은 분명 가격 경쟁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능과 사양, 가격만 놓고 보면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 깔린 ‘구형 모델 수출 전략’과 한국 시장을 ‘재고 처리처’로 보는 듯한 접근은, 국내 소비자들의 신뢰를 흔들고 있다.

특히 전기차 시장처럼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고 소비자 신뢰가 중요한 분야에서 ‘싸니까 괜찮다’는 전략은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정부의 보조금 정책 변화와 국내 제조사들의 대응까지 맞물리면서 BYD의 국내 시장 전략은 이제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가격보다 ‘진정한 가치’를 따지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지금, 그 싸움에서 BYD가 유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3년전에 만든차가. 아직도 있다고. 도대체 재고가. 얼마나있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