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00원이면 끝”…드디어 첫술 뜬 테슬라 혁신 서비스

오스틴서 일반인 대상 첫 운행 시작
앱 호출·무인 탑승으로 요금은 약 5800원
테슬라 로보택시 요금
로보택시/출처-테슬라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지난 23일(현지시간), 테슬라가 ‘얼리 액세스 프로그램’에 초대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첫 무인 자율주행 로보택시 상업 서비스를 시작했다.

광고

‘사이버캡(CyberCab)’이라는 이름의 이 서비스는 테슬라 앱을 통해 호출할 수 있으며 정액 4.20달러(약 5800원)의 요금으로 이용 가능하다.

테슬라, ‘완전 무인’ 로보택시 첫 상업 운행 개시

테슬라는 이번 로보택시 서비스를 오스틴 남부의 일부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른바 ‘지오펜싱(Geofencing)’ 구역 내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운전석에 아무도 없는 상태로, 조수석에는 차량 운행을 모니터링하는 안전 요원만 탑승한다. 운전은 전적으로 차량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담당한다.

초기 서비스는 테슬라의 ‘얼리 액세스 프로그램’ 참가자들에게 먼저 제공됐다. 테슬라 측은 현재 약 15~20대의 차량을 투입하고 있으며 향후 운행 차량 수와 지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테슬라 로보택시 운행
로보택시/출처-테슬라

사이버캡은 테슬라의 기존 모델 Y 기반으로 운영되며 탑승자는 뒷좌석에만 탈 수 있다.

호출은 기존 테슬라 앱을 통해 가능하고 탑승 시 실내 카메라와 마이크는 자동으로 꺼진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고려한 설계다.

광고

테슬라는 사이버캡과 함께, 향후 스티어링휠과 페달이 아예 없는 전용 로보택시 모델도 출시할 예정이다.

가격은 약 3만 달러(약 4100만 원) 이상으로 책정될 것으로 보이며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차량은 일반 고객이 소유한 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테슬라 로보택시 네트워크에 등록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로보택시 수익화 시작… 요금은 고정가 4.20달러

테슬라의 로보택시 요금은 현재 시점에서는 이동 거리나 시간과 관계없이 정액 4.20달러로 설정됐다.

오스틴 현지 시간 오후 2시 무렵부터 시범 운행이 시작됐으며 초기 탑승자는 앱을 통해 호출한 차량을 이용해 도심 내를 이동할 수 있다.

테슬라 로보택시 운행
로보택시/출처-테슬라

이용자의 차량 호출 이력 및 개인 설정은 테슬라 앱 내 드라이버 프로필과 연동돼, 탑승 중에도 본인의 미디어 설정이 그대로 적용된다.

광고

로보택시 플랫폼은 아직 제한된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이는 테슬라가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회사 측은 향후 서비스 이용자가 확대되면 요금 체계 역시 거리, 시간, 시간대 등 여러 요소에 따라 차등 부과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 초기 단계에서는 단일 요금을 통해 사용자 접근성을 높이고 시스템 안정화를 우선 과제로 삼았다.

우버·웨이모 ‘촉각’… 자율주행 호출 서비스 격전 예고

테슬라의 이번 상업 운행 개시는 기존 차량 호출 업계에도 강한 자극을 주고 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자회사 웨이모(Waymo)는 이미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등 4개 도시에서 1500대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하지만 테슬라가 대중 상업 서비스로 진입하면서, 경쟁 구도는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웨이모 로보택시 상용화
웨이모 로보택시/출처-웨이모

아마존이 투자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주크스(Zoox)’도 현재 시범 운행을 마치고 본격 상용화 준비에 돌입한 상태다.

이처럼 다양한 기업들이 무인 운전 기술을 실서비스에 접목하며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는 소유 기반 수익화 모델이라는 독자적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웨이모 로스엔젤레스 로보택시 서비스 시작
웨이모 로보택시/출처-웨이모

테슬라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실적 발표에서 “2025년 중반부터는 로보택시 서비스가 테슬라 재무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 자체 판매를 넘어 플랫폼 운영을 통한 장기적 수익 모델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다만, 완전 무인 주행에 따른 법적 책임, 데이터 윤리, 안전성 검증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여전하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향후 서비스 확대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테슬라의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는 실제 상용화를 향한 본격적인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업계 전체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메르세데스 GLC EV 제원

“이게 말이 되나요?”… 10분 충전으로 260km 주행 가능한 전기 SUV 등장

더보기
현대차 SDV 기반 페이스카 2026년 출시

“요즘 자동차는 다 이런가요?”… 현대차 깜짝 공개에 ‘관심 집중’

더보기
2026 로터스 엘레트라 가격

“완전히 차원이 다르다”… 918마력 전기차 국내 출시, 페라리·람보르기니 ‘어쩌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