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늪에 빠진 업계”…’줄도산’ 위기에 비상 걸린 정부, 결국 ‘특단 대책’ 내놨다

공공주택·인프라 대규모 발주
건설 경기 활성화 위해 투자 확대
건설
건설 경기 활성화 / 출처 : 연합뉴스

“요즘 건설업계 너무 힘들었는데, 이거 진짜 호재네”

정부가 건설 경기 활성화를 위해 올해 19조 원 규모의 공사·용역을 발주하기로 하면서 업계가 활기를 띠고 있다.

역대 최대 규모의 공공 발주가 예정되면서 침체된 건설 시장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4일 올해 공공기관 역사상 최대 규모인 19조 1000억 원 규모의 공사·용역을 발주한다고 발표했다.

건설
건설 경기 활성화 / 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발주 실적(17조 8000억 원)보다 1조 3000억 원 증가한 수준으로, 건설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 계획이다.

특히 수도권 지역이 전체 발주의 69%(13조 2000억 원)를 차지하며, 남양주왕숙·인천계양·하남교산 등 3기 신도시 사업에만 3조 50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용인 국가산단 조성 공사(2조 4000억 원대) 등 대규모 사업이 포함되면서 공공 인프라 확충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공공 발주의 특징은 투자 집행 시기를 앞당긴다는 점이다.

건설
건설 경기 활성화 / 출처 : 연합뉴스

정부는 건설 경기 활성화를 위해 1분기 안에 연간 발주 물량의 23%를 집행하고, 상반기 내에 누적 59% 수준을 발주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주택 착공 목표(6만 가구)를 달성하기 위해 12조 6000억 원을 건축공사와 아파트 부대공사에 집중 투자한다.

LH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건설업계의 어려움을 완화하고,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최대한 신속하게 투자 집행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공주택 공급 확대…실수요자 기대감↑

건설
건설 경기 활성화 / 출처 : 뉴스1

또한 LH는 올해 공공주택 19만 가구 이상을 공급할 계획이다. 승인 목표는 10만 가구로, 청년·신혼부부·고령자 대상 공급 비중을 37%로 설정했다.

공공주택 착공 목표는 지난해(5만 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 가구로 설정됐다.

급등한 건설 원가와 금융 시장 불안 속에서 공공주택 공급 일정을 앞당겨 시장 안정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세 사기 피해 지원을 위한 7500가구 매입, 지방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 매입 등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추가 조치도 병행된다.

건설
건설 경기 활성화 / 출처 : 연합뉴스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근 민간 건설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공공 발주 확대는 단비 같은 소식”이라며 “특히 3기 신도시와 공공주택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실수요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대규모 공공 발주가 침체된 건설업계를 살리는 마중물이 될지, 실수요자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7

  1. 부동산때문에 나라가 망하고 있는데 또부동산에 돈을 쏟아붓네. 정말 어이없음

관심 집중 콘텐츠

강남 집값

현금 부자들 몰리더니 “이럴 줄 알았지”…결국 ‘대응’ 예고한 정부

더보기
애플 실시간 통역 기능 도입

“삼성은 다 계획이 있었구나”…애플이 한발 늦게 출시한 ‘이 기능’

더보기
삼성SDI

삼성 기술력에 “미국 1위 기업도 넘어왔다”… 제대로 터진 ‘잭팟’에 ‘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