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더 비싸진다?”…6월 시행하는 정부 정책에 업계 반응 ‘싸늘’, 왜

단열·태양광 늘리지만 공사비도 껑충
분양가 상승 우려 속 정부는 절충 시도
중소 건설사 “지나친 부담” 목소리도
아파트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 의무화 / 출처 : 뉴스1

“공사비 130만 원이 오르면 분양가도 오르지 않겠나.”

다음 달부터 민간 아파트에 적용되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설계 의무화’ 정책을 두고 건설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효율 단열재와 태양광 패널을 활용해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이 제도는 결국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탄소 절감 흐름 속 등장한 ZEB 설계 의무화

아파트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 의무화 / 출처 : 연합뉴스

ZEB는 건물이 외부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양을 줄이고, 태양광 같은 설비를 통해 일부 에너지를 스스로 생산해 ‘제로(0)’에 가까운 에너지 소비를 지향하는 개념이다.

단열을 극대화하고 고성능 창호를 쓰며, 필요한 전력은 태양광이나 지열 등 재생에너지를 통해 확보하는 구조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6월 30일부터 30가구 이상 민간 공동주택과 1,000㎡ 이상 건축물에 대해 ZEB 5등급 수준의 설계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당초 이 제도를 2023년 초부터 시행하려 했으나, 인건비와 자재비 급등에 따른 건설업계 반발을 고려해 1년 반 유예한 바 있다.

아파트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 의무화 / 출처 : 연합뉴스

그러나 최근 탄소 감축과 에너지 고효율 정책의 전 세계적 흐름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결국 강행을 결정했다.

문제는 비용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84㎡ 아파트 1세대 기준, ZEB 5등급 기준을 만족시키는 데 약 130만 원의 추가 공사비가 소요된다.

고성능 단열재, 고효율 창호, 태양광 패널 설치 등으로 인해 비용이 늘어나는 구조다. 정부는 이에 대해 “연간 약 22만 원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약 6년이면 회수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대안 찾는 정부, 그러나 현장 반응은 싸늘

아파트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 의무화 / 출처 : 연합뉴스

그러나 업계 시선은 다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정부는 25층 기준으로 계산했지만, 요즘은 40~50층 고층 아파트가 대부분”이라며 “옥상 공간 부족으로 벽면에 태양광 패널을 부착해야 해 외관 훼손 우려와 추가 공사비 부담이 크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4,428만 원으로, 전월 대비 15만 원 넘게 올랐다.

분양 물량은 급감했지만, 평균가는 상승 중이다. 여기에 추가 공사비가 더해지면 상승폭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아파트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 의무화 / 출처 : 뉴스1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는 탄소중립을 향한 글로벌 흐름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단기간 내 설계 기준을 강화하면서 공사비가 급등하면 결국 그 부담은 소비자 몫이 될 수 있다.

탄소 감축이라는 거대한 목표와 현실적인 건설 여건 사이에서, 정부가 얼마나 섬세한 조율을 해낼 수 있을지 주거 시장 전체가 주목하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

  1. 시장은 시장에 맡겨야지 시시콜콜 문정권 유산을 이어가다가는 대폭등이 눈에 선하다.
    돈 백년 찍어 뿌려봤자 물가폭등으로 다죽인다.

  2. 보이지 않는 손을 보이는 손으로 만들려고 하는 것 자체가 망한 정책인데 사골도 이정도 우리면 뼈도 안남겠다 당장 잘못된 경제 규제 정책 들과 그걸 법제화시킨 악법들부터 싹다 철폐시켜라

  3. 보이지 않는 손을 보이는 손으로 만들려고 하는 것 자체가 망한 정책인데 사골도 이정도 우리면 뼈도 안남겠다 당장 잘못된 경제 규제 정책 들과 그걸 법제화시킨 악법들부터 싹다 철폐시켜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