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년간 쌓아 온 기술력으로 “한국이 해냈다”… 뜻밖의 쾌거에 ‘활짝’

기술 도입국에서 수출국으로 탈바꿈
연구용 원자로 역수출이라는 이정표
국내 원자력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 입증
원자로
한국 원자로 미국 역수출 / 출처: 연합뉴스

한국의 원자력 기술이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는 쾌거를 이뤘다. 66년 전 기술을 배웠던 나라에 이제는 첨단 기술을 수출하는 놀라운 성과에 원자력계가 주목하고 있다. 꾸준한 연구개발과 기술 축적의 결실이 드디어 빛을 발한 순간이다.

기술 도입국에서 수출 강국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컨소시엄이 지난 16일(현지 시각) 미국 미주리대학의 차세대 연구용 원자로 설계 계약을 따냈다. 이는 미국에서 연구로를 처음 들여온 지 66년 만에 이룬 역수출 성과다.

1959년 미국 제너럴아토믹으로부터 ‘트리가 마크-2’를 도입하며 시작된 한국 원자력 연구개발 역사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된 것이다.

원자로
한국 원자로 미국 역수출 / 출처: 연합뉴스

서울 노원구 공릉동 원자력연구소에 설치됐던 첫 연구용 원자로는 1962년부터 1995년까지 가동되며 한국 원자력 기술의 초석을 다졌다.

이를 토대로 한국은 UAE 원전 수출, 체코 원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의 성과를 이루며 세계적인 원자력 강국으로 성장했다.

자립의 여정, ‘하나로’에서 시작된 도약

한국 원자력 기술의 진정한 자립은 1985년 다목적 연구로 ‘하나로’ 설계를 시작하면서 본격화됐다.

원자로
한국 원자로 미국 역수출 / 출처: 연합뉴스

하나로는 1995년 첫 임계(원자로 내에서 핵분열 연쇄반응이 지속해서 일어나면서 중성자 수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 성공했으며, 2004년에는 설계 출력인 30㎿급 열출력에 도달하는 성과를 거뒀다. 바로 이 기술력이 향후 한국의 원자력 수출 경쟁력의 근간이 됐다.

하나로를 기반으로 축적된 기술력은 2009년부터 해외 수출로 이어졌다. 그리스의 원자로 ‘GRR-1’ 성능개선을 위한 설계 기술 수출을 시작으로, 태국의 연구로 계측제어계통 교체사업에도 참여했다.

특히 같은 해 1억6천만 달러 규모의 요르단 JRTR 연구로 설계 및 건설사업을 수주하며 연구로 완전체 수출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한국 원전 수출의 눈부신 성장세

원자로
한국 원자로 미국 역수출 / 출처: 연합뉴스

한국의 원자력 수출 성과는 연구로에 국한되지 않는다. 정부는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원전 수출 10기’라는 목표를 세우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계원자력협회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60여기의 원전 건설이 계획돼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UAE 바라카 원전 사례에서 입증했듯 건설역량, 원자로 기술, 가격 경쟁력 등을 종합할 때 이 중 약 70기를 수주할 역량이 있다고 평가한다.

현재 한국은 폴란드, 루마니아, 튀르키예 등과도 원전 수출을 적극 추진 중이다. 폴란드 프로젝트의 전체 수주액만 10조~3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원자로
한국 원자로 미국 역수출 / 출처: 연합뉴스

연구로, 원전 수출의 ‘틈새시장’으로 주목

특히 연구로 수출은 원전 수출의 ‘틈새시장’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제원자력기구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54개국에서 227개 연구로가 운영 중이며, 대부분이 40년 이상 된 노후화 시설이다. 따라서 대체 및 개선 수요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안정적인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1기당 건설 비용이 2억~10억 달러에 달하는 연구로는 파생 기술 수요까지 고려하면 결코 작지 않은 시장이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상반기까지 한국형 소형모듈원자로인 SMART 및 연구로 수출전략을 마련하고, 2029년까지 320억원을 투입해 고성능 다목적 연구로 기본모델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원자로
한국 원자로 미국 역수출 / 출처: 연합뉴스

또한 이번 미국 미주리대학 계약은 미국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지정으로 수출용 연구로 기술 개발 협력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됐다.

원자력 전문가들은 이번 성과가 향후 한국의 글로벌 원자력 시장 진출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계약을 발판으로 한국의 우수한 원자력 기술이 더 넓은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갈 전망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4

  1. 멍청한 삶은소대가리 놈이 원자력에 태클만 걸지 않았어도..멍청한 넘~

  2. 우리나라가 실험용 원자로를 미국에 수출 하다니! 참! 감회가 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