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안정? 착시였다”… 美에 불어닥친 ‘폭풍전야’, 그 이유는

“이번 달까진 조용했지만”
물가 반등, 이제부터 시작일 수도
관세 영향 본격 반영은 5월부터
물가
미국 물가 전망 / 출처 : 연합뉴스

“물가가 잡혔다고요? 그건 지난달까지만 유효합니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예상보다 낮은 상승률을 보이며 진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5월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다.

지금까지는 숨 고르기…관세는 이제 시작

미국 노동부는 13일(현지시간) 발표에서 4월 CPI가 작년 같은 달보다 2.3% 올랐다고 밝혔다.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었다.

물가
미국 물가 전망 / 출처 : 연합뉴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물가’도 상승 폭이 줄었다. 겉으로 보기엔 인플레이션이 잡히는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이 수치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초 발표한 대규모 관세 조치의 영향이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그가 예고한 관세는 일부는 이미 시행됐지만, 대부분은 90일 유예 기간을 두고 5월부터 적용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비용’들이 아직 반영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다.

앞으로 물건을 수입해 오거나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이 올라가면, 그 부담은 결국 소비자 가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물가
미국 물가 전망 / 출처 : 뉴스1

관세란 외국에서 들어오는 물건에 붙는 일종의 ‘입장료’와 같은 개념이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수입하는 신발이나 장난감에 세금을 더 매기면, 그 제품의 가격도 자연스럽게 오르게 된다.

문제는 미국 소비자들이 자주 사는 물건 중 상당수가 해외에서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하지만 4월 물가가 크게 오르지 않은 건, 기업들이 관세 적용 전 미리 물건을 들여놓아 진열해 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즉, ‘재고 효과’ 덕분에 일시적으로 물가가 낮게 나온 것일 수 있다.

소비자는 이미 불안감 느끼고 있다

물가
미국 물가 전망 / 출처 : 뉴스1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조사한 결과, 미국 소비자들은 3년 뒤 물가가 더 많이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보다 가계 상황이 나빠질 것이란 응답도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시장에 대한 기대도 낮아졌다. ‘3개월 내 새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까’에 대해 부정적인 응답이 늘었고, 1년 뒤 실업률이 오를 것이란 전망도 크게 증가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피부로 느끼는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다고 본다. 실제로 휘발유, 등록금, 의료비 등 생활 밀접 비용이 오를 거라는 예상도 많았다.

관세가 실제 물가를 얼마나 자극할지, 그리고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이 어떻게 대응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물가
미국 물가 전망 / 출처 : 연합뉴스

다만 분명한 건, 지금의 ‘물가 안정’이라는 분위기는 잠시 스쳐 가는 구간일 수 있다는 점이다. 진짜 물가는 이제부터가 시작일지 모른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1. 전세계 울가는 벌…써 올랐는데..너네는 무슨 똥배로 그걸 피해가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