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제안 들어왔다”… 美 노골적인 ‘러브콜’에 한국은 ‘난감’

美, LNG 구매 요구하며 협상 언급
알래스카산 가스, 경제성·정치성 얽혀
정부, “조건 검토 필요” 신중한 태도
LNG
미국의 LNG 구매 요구 /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이 가스를 사야 관세 문제도 풀릴 겁니다.”

한미 자유무역과 에너지 협력이라는 이름 아래, 미국의 일방적인 요구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는 지난 26일 국내외 언론과 만나 “한국이 알래스카산 LNG(액화천연가스)를 구매하지 않으면 한국 기업에게도 득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친분을 언급하며 “가스 구매가 무역수지와 관세 협상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LNG 계약을 사실상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것이다.

LNG
미국의 LNG 구매 요구 / 출처 : 뉴스1

던리비 주지사의 이번 방한은 단순한 에너지 외교를 넘어 트럼프 진영의 경제 특사로서 압박 수위를 높인 행보로 해석된다.

하지만 정작 그의 발언에 화답한 국내 기업이나 정부 기관은 없었다. 정부 역시 공식적으로는 “논의 단계”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알래스카 LNG 사업은 아직 착공 단계가 아니며, 실질적 논의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64조 대형 프로젝트…이익보다 리스크 먼저 보인다

LNG
미국의 LNG 구매 요구 / 출처 : 연합뉴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 알래스카 북부 가스전을 출발점으로, 130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깔고 남부 해안까지 가스를 운송한 뒤 LNG로 액화해 수출하는 사업이다.

전체 사업비는 약 44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64조 원에 달한다. 이는 한국 정부의 1년 예산의 10분의 1에 가까운 규모다.

게다가 알래스카는 극한의 환경으로 공사 기간이 예측 불가하며, 환경보호 이슈도 복잡하게 얽혀 있다.

실제로 과거 이 사업에 뛰어들었던 엑손모빌과 BP도 채산성 문제로 중도 하차한 바 있다.

LNG
미국의 LNG 구매 요구 / 출처 : 뉴스1

그럼에도 미국은 “한국이 참여하면 선박, 철강, 파이프 수출 기회도 생긴다”며 민간 기업 유치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조심스럽다. 현재 카타르·오만 등 중동 국가와의 장기계약이 순차적으로 종료되면서 LNG 수급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인 것은 맞다.

하지만 알래스카산 가스가 그 대안이 되려면 ‘가격 경쟁력’이 먼저 입증돼야 한다.

정부 관계자는 “중동 공급처보다 비싼 가스를 장기계약으로 들여올 수는 없다”며 “합리적인 조건이 전제돼야 논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LNG
미국의 LNG 구매 요구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들어가자니 리스크가 너무 크고, 안 들어가자니 미국 눈치가 보이는 상황”이라며 “신중하지만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금 한국은 단순한 가스 구매 여부가 아닌, 에너지 안보·외교 전략·경제 실익이 얽힌 복합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결단이 더 늦어지면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