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락 직전 증권 매수하는 기이한 능력 있다”
미국 자산운용사, 한국 개미들 행보 ‘오징어 게임’ 비유
한국 투자자들 AI·양자컴퓨팅·로보틱스 주식 대거 매수

“한국 개미들은 폭락 직전의 증권을 매수하는 기이한 능력이 있다.” 미국 금융시장에서 한국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패턴을 바라보는 시선이 심상치 않다.
한국의 개인투자자들이 미국 증시에서 보이는 행보가 마치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과 유사하다는 평가까지 나오면서, 그들의 투자 방식이 국제 금융계의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오징어 게임 주식시장”…충격적 보고서 공개
아카디안 자산관리의 선임 부사장 겸 포트폴리오 매니저 오웬 라몬트가 최근 공개한 보고서가 금융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오징어 게임 주식시장(The Squid Game stock market)’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는 한국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패턴을 분석하며 이례적인 충고를 담았다.
라몬트 부사장은 “지난 몇 년간 미국 시장에서 한국의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급속한 부의 축적을 위해 극단적인 위험을 감수하며 비정상적인 주가 변동을 초래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러한 현상이 생존을 위해 목숨을 걸고 게임에 참여하는 ‘오징어 게임’의 상황과 유사하다고 판단, 이 비유를 보고서 제목으로 삼았다.
“현재의 한국 개인투자자들은 2021년 로빈후드 앱을 통해 투자했던 미국 개인투자자들과 매우 흡사한 특성을 보인다”라고 라몬트 부사장은 언급했다.

그는 또한 “전체 시장 규모에 비하면 그 영향력이 미미할 수 있으나, 특정 영역에서는 자신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작지만 강한 영향력…놀라운 시장 장악력
미국 증시 전체 시가총액 62조 달러에서 한국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0.2%에 불과하다.
그러나 라몬트 부사장의 분석에 따르면, 일부 특정 분야에서는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주요 참여자로 부상했다.

예를 들어, 한 유명 양자컴퓨팅 관련 종목의 경우 전체 지분의 31%를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형주에 한국인들의 자금이 집중되면서 극단적인 가격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라몬트 부사장은 지난 2024년 12월 9일 양자컴퓨팅 관련 중대 뉴스가 발표된 후, 관련 주가가 급등했던 7개 종목에서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비정상적인 가격 변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이러한 변동성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지만, 그들이 시장 변동성에 불을 지핀 것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폭락을 앞둔 주식을 매수하는 특이한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2008년 리먼브라더스 붕괴와 같은 미국 금융사의 주요 위기 직전에 한국 개인투자자들의 관련 종목 매수가 급증했던 사례를 언급했다.
“피하라” vs “단정 말라”…의견 분분
라몬트 부사장은 “모든 시장에는 잘못된 판단으로 부의 손실을 초래한 상징적인 개인투자자 집단이 존재한다”며, 1989년 일본의 월급쟁이들이 펼친 토지와 주식 투기, 2021년 로빈후드 앱을 통해 밈 주식을 매수했던 미국 개인투자자들의 사례를 함께 언급했다.
그러면서 “현명한 투자자라면 거래의 반대편에 누가 있는지 항상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라몬트 부사장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순매수한 상위 50개 종목들은 주로 AI, 양자컴퓨팅, 로보틱스, 원자력, 데이터센터, 암호화폐 관련 주식들이다.
그의 최종 충고는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매수하는 이러한 종목들을 피하고, 대신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반면, 일부 금융 전문가들은 한국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패턴을 일방적으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그들은 한국 투자자들의 높은 정보 습득력과 빠른 의사결정 능력이 때로는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를 빠르게 포착하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반박한다.

아카디안 자산관리의 이번 보고서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한국 개인투자자들의 영향력과 역할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키고 있다.
Good job
또 굿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