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영상 플랫폼 ‘틱톡 라이트’가 국내 사용자 500만 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는 파격적인 현금 보상 정책 덕분으로 풀이된다.
틱톡 라이트는 틱톡의 경량화 버전으로, 고급 편집 기능을 줄이고 동영상 시청에 중점을 둔 앱이다.
국내에 지난해 12월 처음 출시됐으며,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450만 명을 넘어섰다. 불과 1년도 안 된 앱으로서는 매우 빠른 성장이다.
특히 이용자 급증의 배경에는 현금 보상 정책이 있다. 틱톡 라이트는 친구 초대 시 10만 원을 지급하고, 초대받은 사용자가 출석 확인이나 영상 시청 등 미션을 완료하면 추가 보상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혜택 덕분에 틱톡 라이트는 이른바 ‘앱테크’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40대 사용자가 전체의 32.7%를 차지하며 주요 사용자층으로 떠오른 것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 정책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사용자가 현금을 받기 위해서는 틱톡 라이트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며, 이로 인해 디지털 중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현금 보상 정책이 중단된 사례도 있다.
유럽에서는 보상 프로그램 영구 폐지
지난 4월 틱톡 라이트는 유럽에 출시 됐는데 당시 EU 집행위원회는 ‘틱톡 라이트’에 대해 사전 위험 평가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아 의무를 위반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티에리 브르통 EU 내수 담당 집행위원에 따르면 “짧고 빠르게 지나가는 끝없는 동영상은 어린이가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중독,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면서 “우린 ‘틱톡 라이트’가 ‘담배’만큼 유해하고 중독성 있다고 의심한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도 방송통신위원회가 틱톡 라이트의 정책을 검토 중이다.
일각에서 틱톡 라이트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라는 점에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함께 제기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요청 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그 배경이다.
이와 관련해 여러 국가에서는 이미 틱톡 사용을 금지하거나 규제하고 있다. 인도를 시작으로 미국, 유럽연합, 캐나다, 일본 등 여러 국가가 정보 유출 위험을 이유로 공공기관에서 틱톡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틱톡이 전면 금지됐으며, 다른 국가들 역시 정부 소속 기기에서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다.
바이트댄스는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로 넘어갈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 반박하고 있지만, 2020년 국내에서 불법적인 개인정보 수집으로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당시 틱톡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를 법적 동의 없이 수집해 정보통신망법을 위반한 혐의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