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는 위험하다”… 공사 현장에 ‘갑자기’ 일본산이 쏟아진 이유

일본 철강, 절반 이상이 한국에
가격 싸고 우회 수출까지… 업계 긴장
일본
일본산 철강 유입 / 출처 : 연합뉴스

“요즘 공사 현장에서 일본 철강이 부쩍 늘었대요. 이대로도 괜찮은가요?”

일본산 철강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고층 건물이나 다리 건설에 쓰이는 철강 제품이 절반 넘게 일본산으로 채워지면서, 한국 철강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가격은 저렴하고, 미국 수출길이 막히자 일본이 한국으로 방향을 틀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건물 뼈대에 쓰는 철강… 절반 이상이 일본산

일본
일본산 철강 유입 / 출처 : 연합뉴스

문제가 된 철강 제품은 ‘H형강’이다. H형강은 이름 그대로 알파벳 H 모양으로 생긴 쇳덩어리로, 건물 기둥이나 다리 구조물처럼 튼튼한 뼈대를 세울 때 주로 사용된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국내로 들어온 수입산 H형강 가운데 55%가 일본 제품이었다. 작년에는 43%, 재작년엔 32% 수준이었는데, 점점 더 비중이 늘고 있는 것이다.

가격도 국산보다 톤당 약 5만 원 정도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은 기본 단위가 ‘톤’이라 대규모 건설이 많을수록 차액이 커지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서는 저렴한 일본산을 찾을 수밖에 없다.

이런 현상은 환율과 무역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2022년 이후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일본 제품은 상대적으로 싸게 팔릴 수 있는 구조가 됐다.

일본
일본산 철강 유입 / 출처 : 뉴스1

여기에 미국이 일본 철강에 최고 50%까지 관세를 물리자, 일본 철강업체들이 한국으로 수출 방향을 바꿨다는 해석이 나온다.

국내 업체들은 일본산 H형강이 너무 싸게 들어오고 있다며, ‘덤핑’ 여부를 따져 반덤핑 제소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작년 말 현대제철이 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해 제소한 뒤 점유율이 10% 넘게 떨어진 전례도 있다.

미국 현지서도 격돌… “진짜 싸움은 이제부터”

한편 미국 시장에서는 양국 철강업체 간 본격적인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미국 루이지애나에 자동차 강판 전용 제철소를 짓기로 했다. 투자금만 8조 원이 넘는다.

그런데 일본제철은 미국 철강회사인 ‘US스틸’을 인수하려 하고 있다. 이 인수가 성사되면 일본제철은 세계 3위 철강업체가 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인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경쟁은 한층 뜨거워졌다.

일본
일본산 철강 유입 / 출처 :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미국 내에서 자동차용 철강, 가전용 철강 등 겹치는 분야에서 한일 경쟁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다만 아직 고객층이 다르고 시장도 넓기 때문에 당장 한국 철강업계에 큰 피해가 생기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세계 철강 산업은 지금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일본은 환율과 전략적 인수로 영역을 넓히고 있고, 한국은 반덤핑 대응과 미국 현지 투자로 맞서고 있다.

한국 철강업계의 고심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3

  1. 돈과의 전쟁!
    망해가는 미국의 발악을 받아줄 나라가 몇개?
    중국은 우리에게 큰시장

  2. 중국이 철강제 시장 충국은 철강 덤핑국이다 우리나라 인건비가 비싸 경쟁이 안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