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생계비대출 연체율 30% 육박
20대 연체율 36% 넘어
“월 몇 천 원의 이자도 못 낼 지경입니다.” 지난해 생활비 마련을 위해 100만 원을 빌린 A 씨(28)가 한숨 섞인 목소리로 토로했다.
서민들의 마지막 희망이었던 소액생계비대출마저 연체하는 서민들이 급증하고 있다.
소액생계비대출은 저신용·저소득층을 위한 정부의 정책 대출이었지만 최근 연체율이 30%를 목전에 두면서 더욱 냉혹해진 서민 경제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계속되는 생계형 부채의 늪
신용평점 하위 20% 이하, 연소득 3,500만 원 이하인 이들을 대상으로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하는 이 제도는 불법 사금융 피해를 막기 위해 도입됐지만, 오히려 또 다른 빚의 굴레가 되고 있다는 평가다.
서민금융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소액생계비대출의 연체율은 지난 10월 기준 29.7%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말 11.7%에서 1년도 채 되지 않아 세 배 가까이 치솟은 수치다.
청년층 연체율의 급증
연령대별로는 20대가 36.2%, 30대가 32.4%로 청년층의 연체율이 두드러지게 높다.
반면 40대(29.6%), 50대(26.3%), 60대(22.6%) 순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연체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전문가들은 경기침체와 취업난의 이중고를 겪는 청년층이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분석한다.
‘급한 불’ 끄기만으론 부족하다
금융당국은 그동안 까다로운 심사 기준 완화, 대출한도 상향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려 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후관리와 재무상담 서비스 부족, 채무조정 제도와의 낮은 연계성이 문제로 지적된다.
김현정 의원은 “단순 대출 제공을 넘어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종합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소액생계비대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상환계획 수립, 일자리 연계 등 종합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당장의 급전 해결을 넘어 금융취약계층의 자활을 돕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한 시점이다.
쓸때는 지도처럼썼다가 갚을때 되니 배째라는식인 사람들도 있으니 연체율이 치솟지 책임은 반드시 지도록 은행돈 안쓰고 알뜰히사는국민 억울하지않도록 국민세금으로 대신 갚아주일없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