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끝나지 않았다”…심상치 않은 미국 움직임에 ‘긴장감 고조’

“우려하던 동맹국 압박 현실화”
장비 유지보수까지 제한에
글로벌 시장 ‘긴장감 고조’
미국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 /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동맹국을 대상으로 대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를 압박하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일본과 네덜란드 기업들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들까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24일(현지시간) 미국이 일본·네덜란드 당국자들과 만나 반도체 장비업체의 중국 내 유지보수 제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일본 도쿄일렉트론, 네덜란드 ASML 등 동맹국 기업에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 / 출처 : 뉴스1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네덜란드와 일본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부터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규제에 동참해 왔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이 강화되면서 내부적으로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일본 역시 도쿄일렉트론 등 반도체 장비 기업들이 중국 내에서 활발히 사업을 펼치고 있어 미국의 요구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한국 반도체 업계, 미·중 갈등에 또다시 ‘샌드위치’

미국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 /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의 반도체 규제 강화가 현실화될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두 기업은 중국 내 생산시설을 운영하며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낸드플래시를, SK하이닉스는 우시에 있는 공장에서 D램을 생산한다.

이미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로 인해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중국 공장에서 반도체 생산을 지속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로부터 1년간의 면제 조치를 받은 상태다.

하지만 이 조치가 연장되지 않으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생산 차질을 겪을 수밖에 없다.

미국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 / 출처 : 뉴스1

블룸버그는 “미국의 최종 목표는 중국이 인공지능(AI)과 군사력 강화를 위한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추가적인 제재도 검토 중이다.

중국 파운드리 업체 SMIC(중신궈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해졌다.

또한, 미국 정부의 승인 없이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반도체의 종류와 수량을 추가로 제한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미국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 / 출처 : 뉴스1

한국 반도체 업계에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강화가 중국 내 생산라인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자국 기업뿐만 아니라 동맹국 기업까지 압박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규제가 현실화된다면, 반도체 업계는 또 한 번의 격변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관심 집중 콘텐츠

소주 해외 수출액 증가

한국 아빠들 소울푸드에 “전 세계가 푹 빠졌다”… ‘대박’ 비결 뭐길래

더보기
영양군

심각한 상황에 결국 “난민도 환영합니다”… ‘극약 처방’ 나선 ‘이곳’, 대체 왜

더보기
제주도 경제 침체 장기화 우려

“그 돈 내고 안 가요”… 결국 ‘초비상’ 걸린 제주도, 무슨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