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회 놓치면 끝”… 李 대통령 ‘한 마디’에 도시 전체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게 마지막 기회일지 모른다”
치고 올라가는 부산,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대통령
해양수산부 이전 / 출처 : 연합뉴스

“지금 이 타이밍을 놓치면 부산은 또다시 기회를 잃는다.”

광고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는 대통령 지시에 지역 분위기가 술렁이고 있다.

각 구청장부터 시장까지 일제히 나서 유치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단순히 ‘청사 하나 오는 것’ 이상이기 때문이다. 산업지도, 경제 흐름, 도시의 위상까지 바뀔 수 있다는 절박함이 깔려 있다.

‘부산 해양수도화’ 공약, 현실로 옮겨지는 중

해수부는 지금 세종시에 있다. 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은 당선 당시 “부산을 명실상부한 해양수도로 만들겠다”며,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대통령
해양수산부 이전 / 출처 : 연합뉴스

취임 후 첫 국무회의에서 이를 즉시 지시했고, 현재 해수부 내부에 ‘이전 추진단’이 꾸려져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부산시는 이 기회를 지역 도약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동구는 “북항에 이미 공공기관 부지가 조성돼 있고, 부산역·신공항과의 접근성도 좋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강서구는 부산신항 인근을 앞세워 “물류 중심지로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경쟁이 뜨거운 이유는 해수부만 오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해양환경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심지어 HMM 같은 대형 해운사 이전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광고

한 번에 수천 명 규모의 일자리와 수조 원대의 경제 효과가 예상되는 이유다.

그러나 세종에서는 불안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행정수도라는 상징성과, 다른 중앙부처와의 협업 필요성, 그리고 공무원들의 거주·통근 문제까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대통령
해양수산부 이전 / 출처 : 연합뉴스

인천시도 “수산 관련 기능이 모두 부산으로 쏠릴 수 있다”며 우려를 드러냈다.

정책 효과 크지만, 넘어야 할 과제도 선명하다

긍정적인 전망도 있다. 해수부가 부산으로 옮기면, 동남권 조선·플랜트 산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

항만물류 중심의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한 글로벌 물류 거점으로서 부산의 위상도 높아진다. 수도권 중심이던 해양정책을 현장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광고
대통령
해양수산부 이전 / 출처 : 연합뉴스

하지만 동시에 행정 효율성 저하 우려도 크다. 국회와의 거리, 세종·서울에 있는 다른 부처와의 소통, 예산 편성이나 국정감사 대응 등 실무적인 부담이 적지 않다.

정부는 관련 법 개정 없이도 장관 고시만으로 이전이 가능하다는 유권 해석을 내놨지만, 현실은 간단하지 않다.

결국 이번 해수부 이전은 단순한 ‘이사’가 아니다. 한 도시의 운명을 바꿀 수도 있는 거대한 변화이며, 동시에 또 다른 도시엔 상실로 다가올 수 있는 정책 결정이다.

이 기회가 누구에게 기회이고, 누구에겐 위기일지를 가르는 건 지금부터의 실행력에 달려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