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넘는 역사 “이렇게 무너지나”… 뜻밖의 상황에 日 ‘긴장’

‘日가전 왕좌에서 추락’…
파나소닉 TV사업 ‘철수 검토’
파나소닉
파나소닉의 TV 사업 철수 검토 / 출처 : 연합뉴스

한때 세계 가전 시장을 주름잡던 일본의 대표 전자 기업 파나소닉이 70년 넘게 이어온 TV 사업에서 철수를 검토하고 있다.

5일 아사히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파나소닉홀딩스가 채산성이 낮은 4개 사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이 중 TV 사업이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구스미 유키 파나소닉홀딩스 사장은 전날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수익성이 낮고 성장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겠다”며 “2027년 3월까지 수익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철수 또는 매각을 포함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TV 사업을 인수하려는 기업이 없는 상황”이라며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때 강자였던 일본 TV, 왜 무너졌나

파나소닉
파나소닉의 TV 사업 철수 검토 / 출처 : 연합뉴스

파나소닉은 1952년 TV 판매를 시작했고, 1960년에는 컬러 TV를 출시하며 일본 가전업계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면서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다.

여기에 중국 하이센스, TCL 등 저가 브랜드의 공세가 겹치면서 일본 기업들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졌다.

실제로 일본 시장조사업체 BCN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평면 TV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50%를 넘어섰다.

파나소닉
파나소닉의 TV 사업 철수 검토 / 출처 : 연합뉴스

반면, 일본 기업인 소니와 파나소닉은 각각 8.8%와 7.4%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하위권으로 밀려났다.

이러한 시장 변화는 일본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28.8%, LG전자는 16.6%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이 빠르게 추격하며 격차를 줄이고 있다.

파나소닉은 TV 사업을 정리하는 대신 전기차 배터리, 항공기 오락·통신 시스템, 기업용 IT 서비스 등 경쟁력이 있는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파나소닉
파나소닉의 TV 사업 철수 검토 / 출처 : 연합뉴스

그러나 일본 전자업계가 TV 시장에서 잇따라 철수하면서 ‘가전 강국’의 명성이 퇴색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파나소닉의 철수가 한국 TV 제조업체들에게도 경고의 신호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저가 공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인공지능(AI) 기술을 앞세운 중국 브랜드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OLED, 마이크로LED 같은 차세대 기술을 강화하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의 추격 속도가 빨라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나소닉
파나소닉의 TV 사업 철수 검토 / 출처 : 연합뉴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브랜드파워, 소비자 경험, 가격 경쟁력까지 모두 갖춘 기업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4

  1. 🇨🇳 산 기술이 거의 우리나라에서 빼내간 기술일걸~그걸 빼내 판 우리나라 기술자들은 극우 매국노

관심 집중 콘텐츠

강남 집값

현금 부자들 몰리더니 “이럴 줄 알았지”…결국 ‘대응’ 예고한 정부

더보기
애플 실시간 통역 기능 도입

“삼성은 다 계획이 있었구나”…애플이 한발 늦게 출시한 ‘이 기능’

더보기
삼성SDI

삼성 기술력에 “미국 1위 기업도 넘어왔다”… 제대로 터진 ‘잭팟’에 ‘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