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폐업 또는 정리해고 등으로 일자리를 잃은 비자발적 실직자 수가 지난 5개월 동안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월 1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입법조사처와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결과, 지난달 비자발적 실직자 수는 123만 7000명에 달해 1년 전 대비 1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몇 달간 경제적 불확실성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경영 위기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비자발적 실직자, 지난 5개월간 꾸준히 증가…50대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
올해 2월 이후 비자발적 실직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50대에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발적 실직자란 직장의 휴업, 폐업, 명예퇴직, 정리해고 등 노동 시장적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을 의미한다. 가사, 육아, 심신장애, 정년퇴직, 급여 불만족 등 자발적 이유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포함하지 않는다.
2월 4.3%의 증가에서 시작해, 3월에는 5.9%, 4월에는 6.9%, 5월에는 14.7%, 6월에는 16.9%로 증가 폭이 점점 확대되었다. 특히 50대에서 비자발적 실직자 수가 27.1%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40대에서도 20.7% 증가하는 등 중장년층에서 큰 폭의 증가세가 나타났다.
또한 청년층(15~29세)에서도 비자발적 실직자 수가 22만 7000명으로 17.8% 늘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산업별 비자발적 실직자 급증…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큰 폭으로 증가
최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건설업, 정보통신업을 비롯한 주요 산업에서 비자발적 실직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에서는 43.4%, 정보통신업에서는 42.3%로 작년 대비 실직자 수가 크게 늘었다. 이는 각 산업 내 경제적 불안정과 구조조정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건설업에서도 34.1%의 증가를 기록했으며, 도매 및 소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도 각각 33.7%, 24.4%의 증가세가 관찰됐다. 이는 민간 소비의 부진과 내수 시장의 약화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도 비자발적 실직자 수가 21.7%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연구개발(R&D) 예산의 삭감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황정아 의원은 “정부는 경기가 회복세라며 자화자찬하지만, 실제 민생경제는 악화일로”라며 “추경이라도 편성해 비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