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쏜 인터넷이 내려온다
통신 요금 줄고, ‘음영지역’ 사라진다
위성통신 전쟁 시대의 개막

“휴대폰 요금이 반값이 된다는데, 그게 진짜 가능해요?”
지구를 도는 위성으로 직접 인터넷을 연결하는 ‘저궤도 위성통신’이 드디어 한국 땅에 발을 디딜 준비를 마쳤다. 서비스만 시작되면, 우리나라 통신 시장도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싼 통신요금 잡고, 통신 사각지대 없앤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스페이스X의 한국 자회사인 스타링크코리아와 한화시스템, KT SAT이 외국 통신회사들과 맺은 ‘국경 간 협정’ 3건을 모두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외국 기업이 직접 국내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법 때문에 꼭 필요한 절차였다.

스타링크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만든 위성인터넷 브랜드다. 이미 한국에 자회사를 만들고 통신사업자 등록까지 마친 상태다.
원웹은 영국 위성통신 기업으로, 국내 통신사들과 손잡고 진출을 준비해 왔다.
이제 남은 단계는 단말기(안테나) 테스트만 통과하면 된다. 절차는 길지 않다고 알려졌으며, 이르면 다음 달부터 원웹 서비스가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스타링크의 서비스 시작 시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위성통신이 들어오면 먼저 혜택을 보는 곳은 산간 지역과 바다 위다. 기존 통신망이 닿지 않는 곳에 직접 위성이 신호를 보내주는 방식이다.
현재는 가격이 비싸고 속도가 다소 느리지만, 기술이 더 발전하면 일반 스마트폰에서도 위성 인터넷을 바로 쓸 수 있는 시대가 올 수 있다.

특히 ‘다이렉트 투 셀(D2C)’ 기술은 위성에서 휴대폰으로 직접 신호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또 위성과 위성을 잇는 ‘레이저 통신’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이 기술들이 더 발전하면 지금의 통신 3사가 독점하던 시장에 진짜 경쟁자가 등장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드디어 메기 한 마리가 풀렸다”는 말까지 나온다. 통신 요금이 떨어지고, 서비스 질도 높아질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아마존도 가세, 위성 전쟁 본격화

스타링크와 원웹만 움직이는 건 아니다. 최근 아마존도 자체 위성 ‘카이퍼’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6년 준비 끝에 드디어 실험에 돌입한 것이다.
한편 스페이스X는 단순한 인터넷 제공을 넘어 화성 탐사 계획도 계속 밀어붙이고 있다. 일론 머스크는 내년 말까지 무인 우주선을 화성으로 보내겠다는 목표를 다시 강조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우리나라도 자체 위성통신 기술 확보에 나섰다. 올해부터 정부가 직접 연구개발에 들어가 2030년까지는 주요 기술을 우리 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통신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시대인 지금, 아직은 낯설고 비싸 보이지만, 이 기술이 열어줄 미래는 그리 멀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그 시작은 바로 우리 머리 위에서 벌어지고 있다.
문제는 강태풍이나 비가오면 위성수신이 안좋다는거
‘통신’ 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