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따라잡는다더니 “이래서는 안 사요”… 발등에 불 떨어진 업계

국내 수소차 5만 대 시대 눈앞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 심각
글로벌 시장 2년 연속 역성장
수소차
수소차 충전 인프라 / 출처: 연합뉴스

“수소차는 가지고 싶지만 충전소가 턱없이 부족해 엄두를 못 냅니다.” 친환경 차량으로 주목받던 수소전기차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화려한 미래를 약속했던 수소차 산업이 인프라 부족이라는 현실적 장벽에 가로막혀 좌초 위기에 놓인 것이다.

5만 대 돌파 목전… 충전은 어디서?

28일 산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는 5만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수소차
수소차 충전 인프라 / 출처: 연합뉴스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는 3만 9216대로, 올해 정부가 확정한 1만 3000여 대의 구매 보조금을 고려하면 연내 5만 대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2018년 현대자동차 ‘넥쏘’ 출시 이후 본격적으로 형성된 국내 수소전기차 시장은 2020년 1만 대를 돌파했고, 2023년에는 3만 대에 도달했다.

올해는 넥쏘 후속 모델인 ‘디 올 뉴 넥쏘’ 출시와 함께 환경부의 7218억 원 구매 보조금 확정으로 보급 확대가 확실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와 달리 수소차 이용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충전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수소차
수소차 충전 인프라 / 출처: 연합뉴스

4월 말 기준 전국 수소충전소는 218개소에 불과하다. 경기 38개소, 경남 23개소, 충북 22개소가 상위권을 차지했지만, 서울은 여의도 국회, 서초구 양재동 등 9곳에 그쳤다.

이로 인해 서울 도심 충전소는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예약제로 운영 중이다.

글로벌 시장도 ‘경고등’… 2년 연속 역성장

이러한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소차
수소차 충전 인프라 / 출처: 연합뉴스

지난 2월 에너지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수소전기차는 1만 2866대로, 2023년 대비 21.6% 감소했다. 2022년 2만 704대로 정점을 찍은 이후 2년 연속 역성장하는 추세다.

브랜드별로는 현대차가 ‘넥쏘’와 ‘일렉시티’를 앞세워 3836대를 판매하며 1위를 지켰지만, 전년 대비 23.5%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7113대로 55.3%의 점유율을 차지했고, 한국은 3688대로 전년보다 20.4% 감소했다.

SNE리서치는 “충전 인프라 부족, 수소 생산·저장 비용 문제, 경제성 확보의 어려움이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며 “국내 시장의 저조한 판매량이 글로벌 시장 위축의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결국 인프라 구축이 수소차 시장 활성화의 핵심 관건인 셈이다.

수소차
수소차 충전 인프라 / 출처: 연합뉴스

수소 공급망 일원화 필요성 제기

수소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충전소 확충과 더불어 체계적인 수소 공급망 관리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현재 국내 수소 유통망 관리는 산업부, 한국석유관리원, 한국가스공사 등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으며, 공급망 전체를 총괄하는 전담 기관은 없는 상황이다.

이는 다른 주요국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미국은 에너지부에서 수소 관련 정책을 총괄하고 있으며, 중국은 국가에너지국, 일본은 경제산업성 산하 자원에너지청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수소차
수소차 충전 인프라 / 출처: 연합뉴스

업계 관계자는 “수소전기차가 대중화 단계에 돌입하려면 충전 인프라와 수소 가격 등 이용자의 총보유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며 “수소의 공급 및 가격 관리 주체를 일원화하고, 국가 차원의 수소에너지 전담 기관이 신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수소 산업 전문가는 “관공서와 정부기관, 공기업 등에 우선적으로 수소충전소를 설치한다면 도심 충전소를 대폭 늘릴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처럼 공공과 민간의 협력이 수소차 생태계 활성화의 열쇠가 될 전망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