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수입 막히면 끝장인데” 대책 없는 한국 현실, 도대체 무슨 일이

에너지 수입의존도 90% 이상
호르무즈 해협 봉쇄시 공급 중단 위기
전문가 “에너지 자급 기반 확보 시급”
에너지 수입
한국 에너지 수입의존도 / 출처: 연합뉴스

“만약 전쟁이나 공급망 갈등으로 수입길이 막히면 석기시대가 연상될 정도로 엄청난 에너지 빈곤을 겪을 수 있습니다.”

광고

한 자원업계 관계자의 이 발언은 현재 한국이 처한 에너지 안보의 취약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0%를 넘는 한국은 그 어느 때보다 불안한 상황에 놓여있다.

특히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원유와 가스 공급이 중단될 경우, 한국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왕고래
한국 에너지 수입의존도 / 출처: 연합뉴스

중동 갈등, 한국 에너지 안보 위협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군사 시설과 가스전, 미사일 기지까지 공습하면서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이란 남부 사우스파르스 가스전 정제시설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고 15일 이란 반관영 파르스 통신이 보도했다.

양국 간 충돌이 전면전으로 확산될 경우 가장 우려되는 상황은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다.

광고
에너지 수입
한국 에너지 수입의존도 / 출처: 연합뉴스

한국석유공사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원유 수입 중 중동 비중은 71.9%로 가장 높다. 사우디아라비아(32.6%), 아랍에미리트(10.9%), 쿠웨이트(9.6%), 이라크(9.0%) 등 주요 수입국 대부분이 중동 국가다.

액화천연가스(LNG) 역시 카타르와 오만을 합쳐 36%가 중동에서 들어온다. 문제는 이 중동산 에너지 대부분이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한다는 점이다.

이란과 UAE 사이에 위치한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과 아라비아해를 연결하는 좁은 수로다.

북쪽은 이란, 남쪽은 오만과 UAE가 접해 있으며, 전 세계 석유 수송량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하루 약 2천만 배럴이 이곳을 통과한다.

에너지 수입
한국 에너지 수입의존도 / 출처: 연합뉴스

페르시아만에서 인도양으로 나가는 유일한 통로인 만큼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의 에너지 수입에 생명선과도 같은 해상 루트로 여겨진다.

광고

1990년 이후 개선되지 않는 에너지 의존도

이러한 가운데 한국의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통계가 시작된 1990년 88.7%에서 2001년에는 98%까지 치솟았다. 이후 소폭 하락했지만 2023년에도 93.9%로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일차에너지 공급 구성은 석유(37.3%), 석탄(24.7%), 가스(19%), 원자력(12.9%) 순이다. 이중 석유와 가스는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에너지 수입
한국 에너지 수입의존도 / 출처: 연합뉴스

한국석유공사가 개발한 동해-1 가스전은 2004년부터 생산을 시작했으나, 가스 생산은 2021년, 석유 생산은 2022년에 매장량 고갈로 종료됐다.

석탄 생산량도 1990년 이후 급감했으며, 올해까지 공공 탄광이 모두 문을 닫을 예정이다.

최악의 시나리오와 대비책

이러한 상황에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나설 경우, 한국은 에너지 수급 불안과 물가 급등으로 직접적인 충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수입
한국 에너지 수입의존도 / 출처: 연합뉴스

미국 자산운용사 밀러 타박의 최고시장전략가 매트 말레이는 “사태가 장기화하면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무역협회 분석에 따르면 유가 10% 상승 시 기업 비용은 제조업 평균 0.67%, 전 산업 평균 0.38% 증가할 전망이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호르무즈 봉쇄는 이란의 ‘최후 카드’로, 단순 위협만으로도 글로벌 시장에 충격을 줄 것”이라며 “정부는 비축유 방출, 대체 공급선 확보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자원업계는 재생에너지, 원전, 바이오에너지 등 에너지 자급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6

  1. 알빠노 남자 청년 공동체심 다 죽이고. 이제 지겹다. 원전 반대자 명단좀 만들어서 지정부담제좀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