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점유율 17.9%로 뚝 떨어져
中 저가 공세에 신기술로 반격 시도
LMR 배터리, 탈중국 전략의 핵심 될까

최근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점유율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는 소식에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사용량은 증가했지만 성장 속도는 따라잡지 못했고, 그사이 중국 업체들은 무서운 기세로 시장을 장악해 가고 있다.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세계 전기차에 쓰인 배터리는 총 308.5GWh로 지난해보다 40.2%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한국의 대표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합산 점유율은 17.9%에 그쳐, 지난해보다 4.6%포인트나 떨어졌다.
‘따라가는 성장’에 그친 K-배터리
세부적으로 보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배터리 사용량이 각각 16.3%, 24.1% 증가하며 나름 선방했지만, 시장 평균 성장률에는 미치지 못했다.
반면 삼성SDI는 북미·유럽의 완성차 업체 수요 둔화로 11.2% 감소한 10.3GWh에 머물렀다.
이와 달리 중국의 CATL은 42.4% 증가한 117.6GWh로 시장 점유율 38.1%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유지했고, BYD 역시 60.8% 성장해 2위 자리를 굳혔다.

두 업체만으로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 셈이다.
이처럼 중국의 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시장을 장악해 가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은 반격 카드로 ‘리튬망간리치(LMR)’ 배터리를 꺼내 들었다.
이 기술은 값비싼 코발트와 니켈 대신 망간을 사용해 가격을 낮추면서도, 에너지 밀도는 LFP보다 30% 이상 높고 안전성도 뛰어난 것이 강점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함께 LMR 배터리를 2028년부터 상용화할 계획이다. 포스코퓨처엠도 최근 양극재 시험 생산에 성공하고, 본격 양산 체제를 준비 중이다.
전문가들은 “LMR은 단순한 기술 경쟁이 아니라 중국과의 규모·비용 싸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라고 평가한다.

또한 LMR은 폐배터리 재활용 측면에서도 유리해,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차세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로에 선 K-배터리, 생존 열쇠는 ‘속도’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의 탄소중립 정책 강화 등 정책 환경도 변수다.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K-배터리 기업들이 현지 합작공장과 생산라인 확대에 나선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정책만 믿기에는 역부족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진출하지 못한 신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동시에 원자재 조달망을 다변화해야 한국 배터리 산업이 지속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당연한거 같은데 우리나라는 똑똑한놈 다 의대가고. 중국 똑똑한놈 다 공대 간다는데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