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브랜드 원가 영상 화제
관세전쟁 속 의도적 여론전 의혹
불매운동으로 번지는 미중 갈등

“브랜드 로고 값만 90%라고?” 최근 중국 공장에서 촬영된 원가 폭로 영상이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미중 관세전쟁 격화 속에 등장한 이 영상들은 글로벌 브랜드의 가격 정책에 의문을 제기하며 전 세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명품 가격의 진실? 원가 폭로 영상 논란
틱톡과 엑스(구 트위터)에서는 유명 브랜드 제품의 제조 원가를 공개한다고 주장하는 영상들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지난 13일 엑스에 공개된 영상은 에르메스 버킨백의 원가가 1,395달러(약 200만 원)인 반면 판매가는 3만 8천 달러(약 5,400만 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 영상은 진위 여부와 관계없이 780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화제가 됐다.
영상 속 중국 공장 관계자라고 소개된 인물은 유창한 영어로 “버킨백 가격의 90%는 단순히 에르메스 로고 값”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틱톡 인플루언서는 “미국에서 100달러 이상에 팔리는 룰루레몬 요가 레깅스가 중국 공장에서는 5~6달러에 제작된다”며 관련 영상을 게시했다.

이에 대해 룰루레몬 측은 즉각 반박에 나섰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 본토에서 생산되는 완제품은 전체의 3%에 불과하다”면서 “정품은 공식 매장과 웹사이트에서만 구매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마케팅 수단이자 관세전쟁의 새 전장
이 영상들은 단순한 폭로를 넘어 실질적인 마케팅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많은 계정들이 “우리에게 직접 연락해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구매하라”며 연락처와 웹사이트를 함께 공개하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OEM(위탁생산) 업체들이 틱톡을 새로운 유통 채널로 개척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45%의 고율 관세를 추가 부과한 시점과 맞물려 등장했다는 점에서 다른 해석도 가능하다.
특히 중국 외교부와 주미 중국대사관이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게시물을 연이어 올리는 상황에서, 중국이 주도하는 여론전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런 콘텐츠가 단기간에 인기를 끈 것은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고관세 정책으로 인한 가격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 공장에서 직접 제품을 구매한다고 모든 관세를 피할 순 없지만, 현행 관세 정책에 대한 반발 심리가 미국 내에서도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맞불작전? 중국 내 반미감정과 애국소비 확산
관세전쟁이 격화되면서 중국 내부에서는 미국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도 확산되고 있다.
톈진의 한 식당 주인은 가게에서 미국 기업 제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으며, 우한의 식당은 ‘미국인 손님에게는 봉사료 104% 추가’라는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이는 트럼프가 최종 관세율 145% 전에 제시했던 수치를 그대로 적용한 맞대응으로 볼 수 있다.
중국 당국도 ‘중국에서 쇼핑’ 캠페인으로 내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미국 제품 불매를 언급하진 않지만,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이 한국전쟁 당시인 1953년 마오쩌둥 연설 영상을 SNS에 올리는 등 반미 정서를 간접적으로 자극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미중 관세전쟁은 이제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소셜미디어, 소비문화, 여론전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양국 간 갈등이 심화될수록 글로벌 브랜드와 소비자들은 더욱 복잡한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명품의단어속에는 눈탱이와 허영이 숨어있지.
일단 대가리수가 많으니
미국한테 이게 먹히네ㅎㅎ
이제. 알았어.허영심이 부른. 명품이. 내. 자신을. 갉아. 먹는다.
능력자들은. 제외.
근대 그명품가방 다중국애들이싹쓸이 해서 사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