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다음은 사람처럼 걷는 로봇
정부·기업 손잡고 1조 투자 나선다

“AI는 이제 말만 하지 않는다, 걷고 일도 한다”
인공지능이 현실의 몸을 입기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을 열고, 한국형 휴머노이드 개발에 민관합계 1조 원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합에는 서울대, KAIST, 포스텍을 비롯한 40여 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하며, 2030년까지 글로벌 최강국 도약을 목표로 한다.
전 세계는 지금 ‘두 발로 걷는 AI’를 둘러싼 기술 경쟁에 돌입했다. 미국 테슬라는 자사 공장에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를 실전 배치 중이며, 중국의 유니트리는 이미 시판 제품을 통해 실용성을 증명하고 있다.

AI 전문가들은 지금을 ‘생성형 AI’ 이후 ‘물리적 AI’ 시대로 전환되는 시점이라고 진단한다.
실제로 휴머노이드는 AI가 단순 대화나 분석에 그치지 않고, 현실의 노동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장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국제 대회에서 꾸준한 입상을 기록하며 기술적 잠재력은 인정받지만, 정작 기업 투자나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연합은 이러한 간극을 메우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다.
하드웨어부터 두뇌까지 직접 만든다

K-휴머노이드 연합의 목표는 단순한 ‘로봇 팔’ 수준을 넘는 전신형 인간형 로봇이다.
연구진은 먼저 여러 기업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 AI 모델인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2028년까지 구축한다. 서울대와 KAIST, 포스텍 등 AI 선도 대학들이 중심이 되어, 실제 로봇 데이터를 학습에 활용하고 피드백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핵심 부품 개발도 병행된다. 리벨리온, 딥엑스 등 AI 반도체 기업들과 SK온,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배터리 업체가 고성능·저전력 AI 칩과 고밀도 배터리 개발에 참여한다.
실증·투자·교육까지 삼박자 전략

이번 연합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생태계 전반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우선 현대차, 포스코, 삼성중공업 등 주요 제조기업이 실제 공장에 로봇을 테스트하는 실증사업에 참여하며, 정부는 이를 위한 실증 인프라와 연 2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 프로젝트가 국가 제조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날 “휴머노이드 산업은 2035년까지 25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합이 한국에 두 발로 걷는 기술 주권을 안겨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진작에 이래야 되는데 늦었지만 다행중에 다행이라 생각한다 이런사태는 정부가 미래지향적인 소극적인
안목이 발전을 더디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