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철도시설 신탄진으로 이전 확정
1조 4천억 원 투입해 도심 단절 해소
2036년 완공 목표로 새로운 시작

“도시를 가로막는 거대한 장벽이 드디어 사라진다.” 대전 시민들의 오랜 숙원이었던 대전조차장 철도 지하화 사업이 마침내 첫발을 내딛는다.
정부가 19일 대전을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대상지로 선정하면서 40년 넘게 도시 발전을 가로막았던 도심 속 철도시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도시 발전 막는 ‘철길의 장벽’ 허문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대전조차장을 포함한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대상지를 발표했다.

대전의 경우 경부선 선로 2.4km 구간을 데크로 덮고, 대규모 철도 정비시설인 조차장은 신탄진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총사업비는 1조 4천억 원 규모다.
38만㎡ 규모 첨단산업 거점으로 탈바꿈
1978년 도심 외곽에 조성된 대전조차장은 도시가 팽창하면서 오히려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됐다.
현재는 서쪽의 대화동 산업단지와 주거지, 동쪽의 중리동 주거지를 단절시켜 시민들의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철도시설 이전으로 확보되는 38만㎡(축구장 53개 크기) 부지에는 청년창업지구와 빅테크, 미디어 등 IT 관련 특화지구가 들어선다.
대전시는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지역 숙원사업 해결의 신호탄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역 숙원사업을 해결하고, 철도로 단절된 지역을 재구조화해 대전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한 “대전역 통합개발사업은 이번 1차 사업에 선정되지 않았지만, 사업계획을 보완해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포함하는 등 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충규 대덕구청장도 “지역 숙원 사업이자 대덕의 미래를 열어갈 대전조차장 이전 및 재개발 사업이 마침내 현실이 돼 본격 추진된다”며 환영의 뜻을 표했다.
이어 “동서 단절 문제 극복은 물론 새로운 경제 거점 형성 등 대덕의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사업은 정부 재정 지원 없이 철도 상부와 주변 부지를 통합 개발해 발생하는 이익으로 비용을 충당하게 된다.

국토부는 “선도사업지로 선정된 지역은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무리가 없는 적정한 규모”라며 “재원이 부족할 경우 지자체가 보조하겠다는 약속도 받았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지만, 첫 삽을 뜨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이런 대형 개발사업은 계획 수립에만 최소 3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상부 개발을 통한 부지 조성과 분양은 2036~2037년경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서울역~용산역 구간 철도 지하화는 이번 선도사업 지역에서 제외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은 기존 철도 운행 문제를 고려해야 하며, 검토할 사안이 많아 아직 최종 노선을 도출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정치하는 놈들이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