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선업계 한국 협력 필요성 강조
트럼프 “최첨단 선박 주문할 것” 발표
한국 조선사 주가 급등세 보여

“미국 조선 산업 붕괴는 한국과 같은 동맹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미국 싱크탱크의 기관지에 실린 이 주목할 만한 발언이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때 세계 최강을 자랑하던 미국 조선업의 부활을 위해 한국의 기술력이 주목받는 순간이다.
미국의 SOS, “한국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퍼시픽포럼이 최근 기관지 ‘펙네트’를 통해 발표한 기고문이 세계 조선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박진호 한국 국방부 정책자문위원은 이 칼럼에서 “미국 조선 산업의 붕괴는 미국 혼자서는 되돌릴 수 없으며, 가장 효과적인 대안은 한국과 같은 동맹국과의 협력”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이러한 판단의 배경에는 중국의 급속한 해군력 확장이 있다. 기고문에 따르면 중국 해군은 2030년까지 435척의 군함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어 미국 해군(290척)을 크게 앞설 전망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1980년대 초 300개가 넘던 미국 내 조선소가 현재는 20개 미만으로 급감했다는 점이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박 위원은 “세계 1위 조선 기술을 보유하고 중국과 시장에서 경쟁 중인 한국이 미국에 즉각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이 이 역할의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화오션은 이미 필라델피아 조선소를 인수해 미 해군 함정의 유지·보수·정비를 담당하고 있으며, HD현대중공업은 미국 테라파워와 함께 2030년까지 소형 모듈형 원자로 추진 선박 개발에 2억 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어 협력 기반이 마련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의 파격 제안, “다른 나라에서 선박 구매할 것”
미국 정부 역시 조선업 위기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우리는 조선업을 재건할 것이며,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 국가로부터 최첨단 선박을 주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9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해양 지배력 회복’ 행정명령의 핵심 내용과 일맥상통한다.
이 행정명령은 동맹국 조선소들이 미국에 투자할 수 있도록 모든 인센티브를 검토하라는 지시를 담고 있으며, 미국 상무부는 90일 안에 상세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미국의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는다. 2054년까지 해군 함정에 최대 1조 달러를 투입하고, 전략상선단을 70척에서 250척으로 대폭 확대하는 구체적인 계획이 뒷받침되고 있다.
한국 조선업계, 새로운 기회의 바다

이러한 대규모 프로젝트는 세계 최고의 조선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업계에 전례 없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미국이 요청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박은 원유 운송선과 알래스카 에너지 개발에 필요한 쇄빙선, 그리고 이지스급 구축함을 포함한 군함 등이다.
특히 척당 1조 원을 넘는 이지스함은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모두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다만 국내 조선 3사(HD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한화오션)가 이미 3~4년 치 일감을 확보한 만큼 일반 상선용 독을 확보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미국 내 이지스 구축함 건조 업체들의 생산 능력은 매우 제한적이다. 미 해군이 요구하는 연간 5척에 크게 못 미치는 연 1.6~1.8척만 생산 가능한 상황이다.
반면 한국의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특수선 건조시설을 모두 활용하면 연간 4척 이상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이러한 상황은 박 위원이 기고문에서 강조한 바와 정확히 일치한다.
“70년 신뢰 동맹국인 한국과의 협력은 미국 조선 산업을 되살리고, 미국 해양 리더십을 유지하는 최선의 해결책”이라는 그의 분석처럼, 한미 간 조선업 협력은 양국 모두에게 상호 이익이 되는 윈윈 전략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맹국? 돈맹국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