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부모 다 책임지는데 “답이 없어요”…무너지는 대한민국 40대들 ‘눈물’

자영업
음식점 자영업자 / 출처 : 연합뉴스

“사업한다고 퇴직금 털어 가게 차렸는데, 이제는 빚만 남았어요. 아이들 학원비도 줄여야 할 판이네요.”

대한민국 경제의 중추이자 ‘허리’로 불리는 40대 가장들이 흔들리고 있다. 이들의 3분기 사업 소득이 통계 작성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교육과 부모 부양의 이중고를 짊어진 채 생존을 위한 고독한 싸움을 이어가고 있는 40대 가장들의 현주소를 들여다봤다.

자영업
음식점 자영업자 / 출처 : 연합뉴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3분기 40대 가구의 사업 소득은 107만 4천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만 2천원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가구의 사업 소득은 팬데믹 이후 2년간 회복세를 보이며 지난해 3분기 123만 6천원까지 상승했으나, 3년 만에 다시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이는 13.1%가 감소한 수치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 수치가 코로나19가 절정이던 2021년 수준으로 후퇴했다는 점이다.

자영업
식품업 자영업자 / 출처 : 연합뉴스

특히,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심각하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전체 40대 중 115만 2천명이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중에서 20.2%인 23만 3천명이 도소매업 분야에 자영업을 운영하고 있는데, 문제는 도소매업 생산이 2022년 2분기부터 6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의류·신발 판매가 직격탄을 맞았다. 고금리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에 늦더위까지 겹치며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의류·신발 지출은 11만 4천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소비지출 중 3.9%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더 큰 문제는 당분간 상황이 나아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영업
의류 판매 부진 / 출처 : 연합뉴스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김광석 경제연구실장은 “현재 40대 가구의 사업 소득 감소 폭은 금융 위기나 팬데믹 시기보다도 더 심각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40대의 위기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23년 기준 40대의 이혼율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는데, 주요 이혼 사유가 경제 문제였다. 뿐만 아니라 경제 문제로 세상을 등지는 40대의 수가 늘어났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40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내수 진작을 위한 정책 지원만 아니라 직업전환 및 역량 강화 지원, 일자리 연계, 관계 회복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1

  1.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경기악화… 자영업 파산.
    소비자는 소비 지출 최소로 절대 생존절약.

관심 집중 콘텐츠

GTX 개통

서울 가까워지자 “1억 넘게 올랐다”… ‘교통 혁신’에 부동산 시장까지 ‘후끈’

더보기
청년들 지방 산업도시 이탈 가속화

서울 안 부러웠는데 “여기서 일 못해요”…떠나는 사람들에 흔들리는 ‘이곳’

더보기
고용시장

“일할 곳이 없어요”…갈 곳 잃은 서민들 ‘막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