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사용 늘어도 수익성은 제자리…
마케팅 효과 기대할 수도

“내수 활성화라는데 카드사들 반응이 미적지근하네.”
정치권이 신용카드 캐시백 정책을 통해 내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카드사들은 기대보다 우려를 먼저 내비치고 있다.
소비자의 카드 사용이 증가할 가능성은 있지만, 캐시백 적용 대상이 소상공인 가맹점으로 제한될 경우 수수료 수익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16일, 정치권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발표한 추가경정예산(추경)안 2조 4000억 원 규모의 ‘상생소비 캐시백’ 사업이 포함되었다.

캐시백 정책은 소비자가 카드 결제액을 일정 수준 이상 늘리면 그 초과분의 일부를 돌려주는 방식이다.
2021년에도 유사한 ‘상생소비지원금’이 시행된 바 있으며, 당시 카드 사용 증가로 인한 소비 진작 효과가 있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시 정부는 8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고, 1566만 명이 총 8019억 원을 환급받았다.
이번 정책은 1인당 캐시백 한도가 60만 원으로 설정됐고, 사용 가능한 업종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로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카드 업계에서는 해당 정책이 실제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카드사들, 수익성 기대 어려운 이유
가장 큰 이유는 수수료율 문제다. 백화점,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의 카드 사용은 환급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대신 소상공인 가맹점에서의 결제만이 캐시백 적용 범위에 포함될 전망이다.
하지만 소상공인 가맹점의 카드 수수료율은 대기업보다 현저히 낮아 카드사 수익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소비자에게 캐시백을 지급하기 위한 전산망 구축과 행정 비용이 카드사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정부 정책에 협조해야 하는 입장이어서 난처한 상황이다.
단기적인 수익성 개선이 어렵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캐시백 정책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
2021년 캐시백 정책 시행 당시 카드사들은 문자, 앱 알림, SNS 광고 등을 통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과열 경쟁을 자제해 달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이번 정책이 시행될 경우 카드사들은 신규 고객 유치 및 기존 고객의 카드 사용량 증대를 위한 마케팅 경쟁을 다시 벌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캐시백 정책이 소비 진작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다만, 카드사들이 마케팅과 데이터 분석 기회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책 시행 후 카드 업계의 전략 변화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