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도 줄고 매출도 꺾였다
편의점 산업 36년 만의 첫 역성장
시장 포화·소비 위축이 원인

편의점이 한국 사회에 들어선 지 36년 만에 처음으로 점포 수와 매출이 동시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작성 이후 처음 겪는 이례적인 상황이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편의점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0.4% 줄었다. 이는 2013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분기 기준 역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같은 통계에서 편의점 매출은 2022년 10.8%, 2023년 8.1% 증가했지만 2024년에는 4.3% 상승에 그친 데 이어 올 1분기 들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점포 수도 줄었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주요 4사의 점포 수는 5만 4852개로, 처음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이는 1988년 편의점 산업이 국내에 도입된 이후 36년 만의 일이다.
소비 위축과 시장 포화가 주된 원인
편의점 업계가 직면한 상황의 배경에는 소비 심리의 전반적인 위축이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3.8로, 기준선인 100을 5개월 연속 밑돌았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의류, 신발, 음식료품 등 일상적인 소비는 2월 기준 각각 1.7%, 2.5%, 6.3% 줄었다. 특히 음식점 매출 감소와 외식 수요 위축이 겹치면서 편의점 방문 자체가 줄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점포 수 자체도 포화 상태다. 인구가 약 1억 2000만 명인 일본의 편의점 수는 5만 7019개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인구 대비 점포 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업계에선 주요 업체들의 1분기 실적 역시 기대에 못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GS리테일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2조 8039억 원, 영업이익 449억 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와 큰 차이가 없지만 영업이익은 39%나 줄어든 수치다.
새로운 먹거리 찾기 위한 시도도 진행 중

편의점 업계는 출점 확장보다는 기존 점포의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생활 밀착형 택배 서비스는 물론이고 패션, 스포츠 관련 상품군 확대도 시도되고 있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자사 브랜드(PB) 상품 확대와 탄력적인 생산·철수 전략으로 버티는 것이 현재 업계의 선택”이라고 진단했다.
편의점은 ‘언제나 열려 있는 가게’라는 이미지로 소비자 곁을 지켜왔다. 하지만 지금은 ‘어디에나 있는’ 존재가 오히려 부담이 되고 있다.
포화된 시장과 차가운 소비 심리를 넘어서기 위한 새 판을 짜야 할 시점이 됐다.
이재명이 여기서 왜 나오냐 2찍아
자료사진이 편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