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건설기성 21.2% 급감
종합건설사 276곳 폐업 사태
지방 중소건설사 비상 걸려

“민간 분양은 계속 미뤄지고, 공공 발주는 대형사 차지입니다. 더는 버틸 방법이 없어요. “한 지방 건설사 대표의 절박한 하소연이 국내 건설업계의 암울한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건설업계는 외환위기 이후 최대 규모의 경기 침체를 겪으며 생존의 갈림길에 섰다.
특히 지방과 중소건설사를 중심으로 줄도산 위기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의 근본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외환위기 후 최대 낙폭, 건설경기 심각한 수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1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건설기성은 26조 8천659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7조 2천172억 원(21.2%) 급감했다.
건설기성은 현재 진행 중인 공사 실적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이번 감소폭은 1998년 외환위기 당시 3분기(24.2% 감소) 이후 처음으로 20%를 넘어선 수치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은 “일반적으로 건설기성은 큰 변동이 없는 지표인데, 이 정도 감소폭을 보였다는 것은 현재 건설경기 부진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의 재정 조기 집행에도 불구하고 공공과 민간, 토목과 건축 전 부문에서 큰 폭의 감소세가 나타났다. 건설기성 하락은 건설기업의 단기 실적 악화는 물론 고용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9일 올해 건설투자가 상반기 -11.3%, 하반기 -1.1%를 기록하며 연간 6.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998년(-13.2%)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중소건설사 줄도산 현실화… 19년 만에 최다 폐업
건설업계의 위기는 폐업 통계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건설산업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5월 전국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27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6건 증가한 수치로, 2005년 이후 최다치를 기록했던 2024년 연간 폐업 수치(529건)의 절반을 불과 5개월 만에 넘어섰다.

폐업 급증의 주요 원인은 고금리 장기화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유동성 위기다.
2022년부터 본격화된 PF 대출 회수 압박과 금융기관의 심사 강화는 중소건설사의 자금줄을 옥죄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공공 발주 축소와 민간 분양 시장 위축이 겹치면서 ‘공사 절벽’이 현실화됐다.
지방과 수도권 양극화 심화
상대적으로 재무 여건이 튼튼한 1군 건설사들은 신규 수주나 자체사업으로 버티고 있지만, 2~3군 중소업체들은 수도권 수주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특히 지방 건설경기는 얼어붙은 상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정비사업 규제 완화 등으로 서울·수도권 사업지를 중심으로 대형사들의 사정은 나아지고 있지만, 중소 건설사는 경쟁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건설업 면허를 자진 반납하거나 휴업 신고하는 사례도 급증하고 있다. KISCON에 따르면 올해 건설업 휴·폐업 신고 건수는 500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매달 건설사 100곳 이상이 문을 닫고 있는 셈이다.
박 실장은 “건설시장 내 물량 자체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 중심의 추경 편성 등을 통한 건설시장 활성화가 시급하다”며 “특히 시장 내 양극화가 심화하는 만큼 수도권보다 지방, 대기업보다 중소건설업체가 실질적 혜택을 받는 방향으로 추경을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중 sssㄹㅔㄱ ㅣ 셰~세 전과4범 도 대또ㅇ령 으로 선출 된 대한민국 인데 … 뭘 더 기대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