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통에도 “한국 제품만 먹어요”…51년 역사, 역대급 기록 터졌다

초코파이 50년 동안 누적 매출 8조 원 달성
한국 과자·음료 수출액 사상 첫 2조 원 돌파 전
초코파이
초코파이 역대 최대 매출 / 출처: 연합뉴스

“어릴 때 친구들과 나눠 먹던 과자인데, 이제는 전 세계인이 즐기는 간식이 됐네요.” 한국 과자와 음료가 K-컬처의 인기에 힘입어 세계 각국의 식탁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오리온 초코파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며 한국 제과 산업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국민 간식’에서 ‘세계인의 간식’으로

오리온의 27일 발표에 따르면, 대표 제품 ‘초코파이情(정)’은 지난해 국내외에서 역대 최다인 40억 개 이상 판매돼 5,8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초코파이
초코파이 역대 최대 매출 / 출처: 연합뉴스

1974년 출시되어 지난해 50주년을 맞은 초코파이는 50년간 누적 판매량 500억 개, 누적 매출 8조 원을 돌파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해외 매출이 5조 5천억 원으로 전체의 약 67%를 차지한다는 사실이다.

오리온은 중국, 베트남, 러시아, 인도에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며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현재 세계 60여 개국에서 초코파이 24종을 판매 중이며, 각 나라의 식문화와 취향을 반영한 현지화 전략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초코파이
초코파이 역대 최대 매출 / 출처: 연합뉴스

베트남에서는 현지 파이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국민 간식’으로 불릴 정도로 사랑받아 제사상에까지 오르고 있으며, 러시아에서는 지난해에만 16억 개가 판매되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초코파이 50년, 한국에서 세계로

초코파이는 한국인들에게 어린 시절 간식이나 특별한 날의 기억과 함께 떠오르는 친숙한 존재로 자리 잡았다.

1974년 경제성장기에 오리온 연구원들이 미국 연수 중 영감을 얻어 탄생한 초코파이는 독자적 기술력과 ‘정(情)’을 강조한 마케팅으로 50년간 사랑받았다.

초코파이
초코파이 역대 최대 매출 / 출처: 연합뉴스

1989년부터 시작된 ‘정’ 캠페인은 가족애를 담은 광고로 소비자의 공감을 얻었으며, 최근에는 ‘디저트 초코파이’로 진화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식품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K-푸드 열풍, 한국 식품 수출 효자로 자리매김

초코파이의 글로벌 성과처럼 다른 한국 식품들도 해외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과자류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한 7억 달러(약 1조 원)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초코파이
초코파이 역대 최대 매출 / 출처: 연합뉴스

음료 수출도 6억 달러로 14.9% 증가했으며, 과자와 음료를 합친 수출액은 13억 달러(약 1조 9천억 원)로, 12월까지 포함하면 원화 기준 2조 원을 돌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한류의 인기 덕분에 과자 수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글로벌 시장의 성장세에 발맞춰 국내 제과·음료 업체들은 해외 시장 개척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

롯데웰푸드의 빼빼로는 지난해 상반기 처음으로 수출 매출액이 국내 매출을 넘어섰으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인도에서 첫 해외 생산 기지를 가동할 예정이다.

초코파이
초코파이 역대 최대 매출 / 출처: 연합뉴스

오리온 관계자는 “초코파이는 초콜릿과 비스킷, 캔디 기술을 융합한 회사 제과 기술의 집약체”라며 “앞으로도 세계인 모두가 즐기는 제품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컬처와 함께 성장하는 K-푸드의 저력을 보여주는 이번 성과는 한국 식품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1. 온통 달게만 만들어 20대 젊은이들도 당뇨병 앓게 만들어선 안된다.
    제발 우리나라 과자업계는 반성해라.

관심 집중 콘텐츠

부실기업 임금체불 증가

“못 받은 돈만 500만 원 넘는데”… 이번 달도 위험하다? 근로자들 ‘눈물만’

더보기
토허제

“사두면 돈 된다” 줄줄이 모여들자 말 바꾼 서울시, 달라지는 점은

더보기
부동산 부자 기준선

“20억? 여기서는 턱도 없다”… 대한민국 상위 1%, 부동산 가치만 봤더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