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훈련장비 갖춘 운항센터
1000명 상주, 연 2만명 교육 목표
AI·드론·UAM 집약된 ‘미래기지’

“드론이 날고 조종사가 훈련받는 도시, 그 중심에 부천이 있다면 어떨까?”
부천시가 상상을 현실로 옮기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대한항공과 손잡고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도심항공교통(UAM) 교육 및 연구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본격화된 것이다.
총 1조 2천억 원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산업단지를 넘어, 미래 항공 산업의 혁신 거점으로 설계됐다.
30일 부천시는 부천아트센터에서 대한항공과 ‘도심항공교통 및 항공안전 연구개발 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AI·UAM·드론 집결지… 훈련부터 연구까지

협약에 따라 부천대장 제2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약 6만 6000㎡ 부지에는 무인기 연구소, 무인기 조립장, 운항훈련센터, 안전체험관 등 R&D와 교육 기능이 복합된 항공 단지가 들어선다.
훈련센터는 특히 주목받는 시설이다. 30대 규모의 모의비행훈련장치를 갖추고 연간 2만 1600명의 조종사 교육을 목표로 한다. 단일 규모로는 아시아 최대 수준이다.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UAM 시대에 대비한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무인항공기(드론) 기술이 중심이다.
이러한 ‘미래 모빌리티 기지’는 자율주행차,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등 차세대 이동수단에 필요한 연구, 제작, 시험, 교육, 인증이 집약된 첨단 복합 단지다.

국내에서는 부천을 비롯해 광주, 충남 등에서 이러한 기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이 향후 UAM 산업이나 미래 교통 생태계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이 기지들이 단순한 산업단지를 넘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테스트베드이자 신성장동력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본다.
시는 올해 하반기 토지계약을 체결한 뒤,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 및 입주를 목표로 일정을 추진 중이다.
단지가 들어설 부천대장 산업단지는 인천·김포공항과 인접하고 GTX-D, 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 4중 역세권이 예정된 교통 요지로, 항공 산업단지 입지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항공우주, 방산 분야 대기업 및 중견기업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모빌리티 선점 위한 전략 거점
부천의 시도는 광주, 충남 등 국내 여러 지자체가 추진 중인 ‘미래 모빌리티 기지’ 사업 중에서도 가장 항공 전문성이 높게 기획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기존 도심항공과 방위산업을 동시에 엮어 복합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점이 눈에 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부천 미래 모빌리티 기지’가 과연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을지에 사람들의 시선이 주목되는 시점이다.
그래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