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낳는 순간 “억대 부자 됩니다”… 무려 98억 쏟아부은 ‘이 회사’

“이 정도면 출산 장려 끝판왕”…
부영그룹의 전례 없는 파격 지원
부영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 출처 : 연합뉴스

“아기를 낳으면 1억 원을 준다고? 농담 아니야?”

부영그룹의 파격적인 출산장려금 소식이 전해지자 직장인들 사이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다.

부영그룹은 5일 열린 시무식에서 지난해 출산한 직원 자녀 28명에게 총 28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이중근 회장이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직접 마련한 것으로, 시행 첫해인 지난해에는 2021~2023년 출생자까지 포함해 70억 원을 지급했다.

부영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 출처 : 연합뉴스

올해 추가 지급까지 포함하면 총 98억 원이 넘는 지원금이 출산 직원들에게 돌아간 셈이다.

이 회장은 “저출산 문제가 지속된다면 경제 생산인구 감소, 국방 인력 부족 등 국가적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될 것”이라며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장려금 지급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 정책이 하나의 마중물이 되어 다른 기업들도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국가적으로 ‘이만하면 됐다’는 수준이 될 때까지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산장려금 효과, 사내 분위기도 긍정적

부영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 출처 : 연합뉴스

출산장려금 지급이 실제 출산율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부영그룹의 지난해 출생아 수는 28명으로, 2021~2023년 평균 출생아 수(23명)보다 증가했다.

특히 첫째를 낳고 장려금을 받은 후 둘째를 출산해 2억 원을 받은 직원도 3명이나 됐다.

회사의 정책이 장기적인 출산율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부영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 출처 : 연합뉴스

부영그룹 관계자는 “출산을 장려하는 실질적인 지원책이 기업 차원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직원들이 안심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부영그룹의 정책이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되면서 다른 기업들의 동참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다양한 출산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여전히 출산율 회복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직원들의 출산과 육아를 실질적으로 지원하면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며 “출산장려금뿐만 아니라 육아휴직 확대, 보육시설 지원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영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 출처 : 연합뉴스

실제로 일부 대기업은 육아휴직 기간을 늘리거나 출산 후 재택근무를 허용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영그룹의 정책이 장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기업들의 자발적인 동참이 이어진다면, 저출산 문제 해결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