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원화 약세에 식자재 폭등…
한국은행 고민 깊어진다

“월급은 거의 그대로인데 장 보는 비용이 두 배는 오른 것 같다.”
서울에서 맞벌이 가정을 꾸리는 직장인 A 씨(38)는 최근 장바구니를 채울 때마다 한숨이 절로 나온다고 전했다.
배추, 무, 감자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자 외식비까지 상승하면서 이제는 한 끼 식사를 때우는 것도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원화 가치 하락을 꼽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수입 물가는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원자재와 가공식품의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고, 이는 생산자물가 인상으로 이어져 소비자 부담을 더욱 키우고 있다.
특히 석유류 제품과 공공요금이 오르는 점이 서민 경제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휘발유 가격은 최근 ℓ당 1800원을 돌파했고, 전기·가스·수도 요금도 지난해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올해도 물가 상승을 체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준금리 인하도 쉽지 않다”… 한은의 고민 깊어져
물가 불안이 지속되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정책도 신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첫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0%로 동결했다.

경기 부진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물가가 안정되지 않는 한 성급한 금리 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 29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도 한국은행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원·달러 환율이 더 상승할 수 있고, 이는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 물가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를 신중하게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고환율과 물가 상승, 실질소득 감소라는 삼중고 속에서 한은이 금리를 성급하게 내릴 경우 원화 약세가 심화돼 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처럼 물가는 오르는데 소득은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서민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부는 서민 물가 안정을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공급망 문제와 국제 경제 변수까지 고려하면 물가 안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고물가 시대에 실질소득 감소가 이어지면서 소비 위축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경기 둔화 속에서도 물가 안정 대책을 병행해야 하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권층 일부만 부귀영하을 누리면 될일이 아니라 전국민 25만원 지급이 맞다 그래야 골고루 경기가 돌아간다
윤정부 탓하지 마라. 민주장 이재명이 서민정책 다 질라서 그런거디
일본은 더 심각하다. 100엔****150엔.
미국 유가도 Galon(3.8L) 당, $3.29이니 한국만 높은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