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살리기에 나선 중앙은행,
과연 효과 있을까?

한국은행이 11일 금통위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3.50%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긴축적 통화정책을 종료하고 3년 2개월 만에 완화 기조로 전환했다.
이번 금리 인하는 2020년 5월 이후 4년 5개월 만으로, 그동안의 금리 인상 기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금리가 낮아지면 부동산 시장과 가계대출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한은은 내수 침체와 경제 성장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금리 인하로 미국과의 금리차는 다시 1.75%포인트로 벌어졌지만, 연준이 최근 ‘빅컷’을 단행하면서 환율과 외국인 자금 유출에 대한 부담도 다소 줄었다.
금통위는 이번 결정을 통해 국내 경제 성장 둔화에 대응하는 한편, 내수 회복을 촉진해 민간 소비와 투자를 활성화하려는 의지를 밝혔다.
최근 경기 둔화 조짐이 뚜렷해지면서 한국은행은 경제 하강을 막기 위한 조치를 점진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지난 2분기 실질 GDP가 1분기 대비 0.2% 감소하고, 9월 소비자물가지수도 1.6% 상승해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를 밑도는 등 금리 인하에 따른 인플레이션 부담도 다소 완화된 상황이다.
한 전문가는 “소비자물가가 한은의 목표를 밑돌고 있고 수출 증가율까지 둔화할 것으로 보여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통위는 고금리로 인한 경제 부정적 영향 완화와 경기 활성화를 위한 금리 인하 결정을 내렸다.
내리면 부동산 이자값는데 쓰지
내수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