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돈’으로 기술을 만든다
한국은 ‘지원’을 기다리고 있다

최근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해외에서 수조 원대 투자를 끌어들이며 세계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한국 기업들도 개발에 힘을 쏟고 있지만, 자금과 정책 지원에서 뚜렷한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자본의 힘으로 기술 격차 벌렸다

중국 1위 배터리 업체 CATL은 지난 12일, 홍콩 증시에 주식을 새로 내놓는 기업공개(IPO)를 통해 5조 원이 넘는 투자금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IPO란 회사가 처음으로 외부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공개해 자금을 유치하는 방식으로, 홍콩 IPO는 홍콩 증권시장에 주식을 올려 해외 자본을 끌어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번에 CATL이 내놓은 물량은 올해 들어 세계 최대 규모로 평가됐다.
이브 에너지처럼 업계 5위권에 있는 중국 기업들까지 잇따라 IPO에 나서고 있다. 이브는 1조 9000억 원 규모 자금 확보를 목표로 홍콩 증시 입성을 준비하고 있다.
이미 CATL은 리튬보다 저렴한 원료인 나트륨을 활용한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공개하고, 연내 대량 생산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중국 기업들은 막대한 자금력에 기술력까지 더하며 속도를 높이고 있다.
한국, 기술은 있지만 ‘돈’과 ‘제도’가 막혔다

한국 기업들도 기술 개발을 위해 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 삼성SDI는 1조 6000억 원, 포스코퓨처엠은 1조 1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유상증자란 새로 주식을 발행해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받는 방식이다. 그러나 중국 기업들이 끌어모으는 돈과 비교하면 아직 차이가 크다.
여기에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주춤하면서 실적 부담도 커지고 있다. 정부의 세제 지원 제도가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업계는 “중국은 돈으로 기술 격차를 만들고 있다”며 “한국도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배터리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자국에서 생산된 배터리에만 보조금을 주는 방식으로 자국 기업을 밀어주고 있다.
이에 맞서 한국도 2030년까지 1조 원 규모의 연구개발 투자, 민간 투자 50조 원 유치, 배터리 인력 1만 6000명 양성 등의 계획을 내놨다.
또한 정부가 인프라와 연구를 함께 이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기술은 하루아침에 따라잡을 수 없다”며 “정부와 민간이 같은 방향을 보고 달려야 겨우 격차를 좁힐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개 이재명놈